[서정욱 미술토크] 천재를 만든 르네상스

입력 : 2011.02.17 14:04
[서정욱 미술토크] 천재를 만든 르네상스

'모나리자'의 레오나르도 다빈치, '천지창조'의 미켈란젤로, '아테네 학당'의 라파엘로… 이른바 거장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니는 예술가들입니다.

그런데 이들은 사실 같은 시기에 활동했습니다. 다빈치는 1452년생으로, 미켈란젤로보다 23살 많았고, 라파엘로와는 31살 차이가 납니다. 하지만, 이 세 화가는 서로 라이벌 관계를 유지하며 수준 높은 작품들을 끊임없이 탄생시켰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이런 역사적인 천재화가들이 같은 시기에 같은 공간에 존재했던 걸까요? 혹시 어떤 사회적 분위기가 이 천재들을 동시에 만들어내었던 것은 아닐까요?

'모나리자'
'모나리자'
사람들은 최고의 문화전성기를 구가했던 이 시기를 '르네상스'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지금도 어떤 부흥이나 부활을 의미할 때 르네상스라는 말을 빌려 쓰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시대적 배경들이 르네상스를 만들었고, 그런 특별한 예술가와 작품들을 탄생시켰던 것일까요? 그 큰 이유는 사고의 전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의 중심에 종교가 있었던 중세시대가, 한계를 드러내면서, 차차 사람들은 인간 중심의 새로운 사고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것은 상상력과 자신감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그 자신감은 새로운 발전으로 이어집니다. 특히, 당시 발명된 활자 인쇄는 사람들의 지식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성삼위일체'
미술 분야에서의 혁신도 눈부셨습니다. 르네상스 화가 마사초의 '성 삼위일체'를 보면, 그 전 그림들과는 달리 입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마사초가 원근법을 이용해 그렸기 때문입니다. 지금으로선 특별할 것이 없지만, 당시 사람들은 깜짝 놀랐다고 합니다. 평면에서 느껴지는 입체감을 그전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것이지요.

'붉은 터번을 두른 남자'
'붉은 터번을 두른 남자'
르네상스 화가 얀 반 에이크의 '붉은 터번을 두른 남자'를 보면, 무척 뛰어난 사실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 큰 이유는 유화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유화는 그 전 템페라와는 달리 사실적인 표현을 하는데 큰 이점이 있었습니다. 그런 유화 덕분에 르네상스 화가들은 한층 발전된 회화를 선보일 수 있었던 것이지요.

'아담의 창조'
'아담의 창조'
'르네상스인' 이라는 말이 있듯 대부분 르네상스 화가들은 그림, 조각, 문학, 음악, 건축 등 못하는 것이 없었습니다. 당시 교황은 미켈란젤로의 조각이 맘에 들자, 예배당의 천장화를 그리게 하였고, 전쟁이 나자 미켈란젤로는 군대의 요새 설계까지 맡았습니다. 산피에트로대성당 돔 역시 미켈란젤로의 작품입니다.

요즈음 뉴스를 보면, 혁신적 기술들이 빠르게 등장하고, 새로운 기준들이 쉴 새 없이 생겨납니다. 혹시 지금이 제2의 르네상스 시대가 아닐까요? 그러기를 기대해봅니다.


※ 외부필자의 원고는 chosun.com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자료·영상 제공 : 서정욱 갤러리 대표 서정욱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