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욱 미술토크] 거울이 있는 그림

  • 글·컨텐츠·사진 제공_서정욱

입력 : 2010.06.03 14:32

우리가 늘 사용하는 엘리베이터가 첫 선을 보인 것은 1854년 이었습니다. 사람들은 처음 보는 이 기계의  편리성에 감탄하면서도, 대기시간이 길고 운행속도가 느리다며 불만을 제기했습니다. 발명자 엘리샤 오티스는 큰 고민에 빠졌고 그 후 갖가지 방법들을 동원해 보지만 이용자들의 불평은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한 직원의 아이디어로 너무나 간단하게 이 문제는 해결되었습니다. 엘리베이터 안에 거울을 달았던 거죠. 그 후 불평은 감쪽같이 사라졌습니다.

나르시시즘! 정신분석학 용어로, 자기애라는 것인데요. 물에 비친 자기모습에 반하여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한없이 바라보다가 죽어서 수선화가 되었다는 그리스 신화속의 미소년 나르키소스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어 정신분석학자 네케가 지칭한 용어입니다.

이 나르키소스의 이야기는 많은 화가들에게 매력적인 소재로 다루어져 아름다운 소년의 모습이 화폭에 담겨졌습니다.  감상해 보시죠.

니콜라 베르나르 레피시에의 꽃으로 변한 나르시스,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의 에코와 나르시스, 니콜라 푸생의 에코와 나르시스입니다.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거울 이야기가 나왔으니 거울이 등장한 작품들을 볼까요? 미술사상 가장 위대한 초상화가로 불리는 17세기 스페인의 궁정화가 벨라스케스의 거울 앞의 비너스입니다.

Venus at her Mirror

우리는 그림 속 비너스의 아름다운 뒷모습을 감상할 수 있고,  거울 속 에 흐릿하게 비친 비너스의 얼굴을 상상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그림은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큰 논란에 휩싸인 적이 있습니다. 사실 이 그림의 모델은 벨라스케스의 애인 플라미니아 트리바라는 여인이었다고 합니다. 글쎄요?  벨라스케스는 아름다운 비너스를 그린 것일까요? 아니면 누드화를 그리고선 비너스로 감춘 것일까요?

벨라스케스가 화폭에 거울을 등장시킨 또 하나의 유명한 작품이 있습니다. 라스 메니나스입니다.

Las_Meninas

이번에도 그는 거울을 통해 보이지 않는 공간을 담았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그림의 뒤쪽 벽에 거울이 걸려있고 그 속에는 두 명의 인물이 그려져 있습니다. 거울 속의 인물은 왕 필립 4세와 왕비의 모습입니다. 그렇다면, 화가 벨라스케스는  왕과 왕비를 그리고 있는 것이고, 그 광경을 공주와 하녀들이 보고 있는 것일까요? 아니면 공주 마르가리타를 그리고 있는 모습을 왕과 왕비가 지켜보고 있는 것일까요?  아무튼 벨라스케스는 우리가 보지 못하는  공간을 보여주기 위해 “거울 앞의 비너스”에도 “라스 메니나스”에도 거울을 사용하였습니다.

거울을 통해 우리가 보지 못하는 공간을 보여주는 작품은 그 이전에도 있었습니다. 얀 반 에이크의 '아르놀피니의 결혼'입니다.

Portrait of Giovanni Arnolfini and his wife
이 그림은 신랑 조반니 아르놀피니와 신부 조반나 체나미의  결혼식 서약 장면을 그린 매우 유명한 작품입니다.  그런데 신랑과 신부의 가운데에 벽에 걸린 볼록 거울로 시선을 돌려 보세요. 거울에는 신랑과 신부의 뒷모습과 함께 우리가 보지 못했던 공간에 두 사람이 서 있습니다. 그 중 파란 옷을 입은 사람은 얀 반 에이크. 화가 자신입니다. 여기서도 거울은 보이지 않는 공간을 보여 주는 역할로 사용되었습니다.

거울은 직접 볼 수 없는 공간을 보게 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스스로는 직접 볼 수 없는 자신의 모습을 거울을 통해서 볼 수 있죠. 그런데 때론 거울 속의 자신의 모습에 빠져,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보지 못할 때도 있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 외부필자의 원고는 chosun.com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자료·영상 제공 : 서정욱 갤러리 대표 서정욱
   

[서정욱 미술토크] 클림트의 금빛 키스
[서정욱 미술토크] 피카소에게 열정을 준 여인들
[서정욱 미술토크] 매혹적인 사랑을 그린 화가
[서정욱 미술토크] 만지고 싶은 여성을 그린 화가
[서정욱 미술토크] 잊혀져버린 천상의 아름다움
[서정욱 미술토크] 200년 만에 다가온 빛의 화가
[서정욱 미술토크] 모나리자가 사라졌습니다
[서정욱 미술토크] 한눈에 여신들 알아보기
[서정욱 미술토크] 물랑루즈의 난쟁이화가
[서정욱 미술토크] 1863년의 선정성 논란
[서정욱 미술토크] 죽음과 공포의 그림, 뭉크
[서정욱 미술토크] 타히티의 화가, 폴 고갱
[서정욱 미술토크] 고흐의 마음을 사로잡은 화가
[서정욱 미술토크] 빈센트 반 고흐 이야기
[서정욱 미술토크] 천국도 같이 간 연인
'사람을 유혹하는 그림'의 화가 알폰스 무하의 작품 보니 글·컨텐츠·사진 제공_서정욱
풍경화의 대가 '프리드리히'를 만든 유년 시절, 어땠기에 글·컨텐츠·사진 제공_서정욱
[서정욱 미술토크] 18세기의 유행, 신고전주의 글·컨텐츠·사진 제공_서정욱
우아한 여성의 시대 '로코코미술' 글·컨텐츠·사진 제공_서정욱
[서정욱 미술토크] 천재를 만든 르네상스 글·컨텐츠·사진 제공_서정욱
[서정욱 미술토크] 렘브란트가 유명해진 이유 글·컨텐츠·사진 제공_서정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