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환기는 호텔, 백남준은 은행, 제프 쿤스는 백화점에 있네?
- 미술 애호가인 박길성 고려대 대학원장은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약속이 있을 때마다 약속 시간보다 10분 먼저 도착한다. 짬을 내 호텔 로비 엘리베이터 양옆에 걸려 있는 수화 김환기 화백의 그림 '메아리' 시리즈(1965) 두 점을 보기 위해서다. "김환기 선생의..
-
2015.10.13 (화)
김미리 기자

- 무대 휘어잡는 애증의 兄弟들
- '만나기만 하면 늘 티격태격 다투는 형제가 있다. 부모가 세상을 떠난 뒤 함께 장례를 치르고 유품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뜻밖에도 아버지와 어머니가 남긴 깊은 사랑의 의미를 깨닫게 된다. 그리고 뒤늦게 형과 동생 사이의 우애를 회복하고, 이 각박한 세상에서 서로 믿고 의지..
-
2015.10.08 (목)
유석재 기자

- 美·日밀약 몰랐던 고종 "美공주가 도우러 왔다" 황실가마 태워
- 1905년 7월 8일 샌프란시스코에서 거대한 증기선이 닻을 올렸다. 무게 2만7000t, 길이는 축구장 두 개에 달하는 '만추리아(Manchuria)호'.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이 파견한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아시아 순방 외교사절단이 타고 있었다. 하와이·일본·필..
-
2015.10.06 (화)
허윤희 기자

- 두 老將의 늦은 전성기… 그들을 빛나게 한 건 '실험 정신'
- [국제갤러리, 하종현 개인展]40년 외길… 단색화 대표 작가… 마대에 물감 짓이겨 밀어낸 형식"계속된 실험으로 자연의 色 얻어""마대(麻袋)와 물감, 그리고 내가 어떻게 하면 합일(合一)이 될 수 있을까. 지난 40년간 고민해왔지요."하종현(80) 화백은 캔버스 표면에..
-
2015.09.23 (수)
허윤희 기자

- 코바체프 날개 달고… 대구시향, 飛上하다
- 18일 저녁 대구시민회관 콘서트홀 로비엔 공연 30분 전부터 관객들이 늘어섰다. 지난 5월 말 지휘 도중 쓰러진 줄리안 코바체프(60) 대구시향 음악감독이 복귀하는 첫 무대였기에 지역 애호가들의 관심이 몰린 것. 무대 뒤편 합창석까지 총 1284석인 콘서트홀 객석은 열흘..
-
2015.09.23 (수)
대구=김기철 기자

- "대구에 온 건 운명… 월세 80만원 오피스텔에 살죠"
- "1년 반 전 처음 연주했을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소리가 많이 나아졌어요. 앞으로 더 좋아질 거고요. 대구시향은 지금도 한국의 주요 오케스트라이지만, 아시아의 손꼽을 만한 교향악단으로 성장할 겁니다."줄리안 코바체프 대구시향 음악감독은 "나는 낙관주의자"라고 했다..
-
2015.09.23 (수)
김기철 기자

- "37살 먹은 재즈 1세대의 고향… 없어지게 놔둬선 안되잖아요"
- 1978년 문 연 재즈 클럽 '야누스'는 그간 여러 번 문 닫을 위기를 넘겼으나 지난 5월 말 주인이자 재즈 가수인 박성연이 지병으로 수술을 받으면서 결국 문을 닫았다. '올댓 재즈'에 이어 한국에서 둘째로 오래된 클럽이자, 재즈 1세대들이 모두 거쳐간 무대는 그렇게 영..
-
2015.09.23 (수)
한현우 기자

- 클래식 피아니스트가 연주합니다 "나의 사알던 고향은∼"
- 작년 초 피아니스트 박종화(41·서울대교수)의 연주를 봤다. 코리안 심포니와 협연한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번이었다. 무난한 연주였던 것 같다. 그런데 메인 프로그램보다 더 강한 인상을 남긴 것은 앙코르였다. 피아노 앞에 다시 앉은 박종화는 "학교 종이 땡땡땡"으로 시작..
-
2015.09.17 (목)
김기철 기자

- "남자 뮤지컬? 한국 여성의 일생 담겨있죠"
- 치매에 걸린 어머니는 아버지를 알아보지 못한 채 망연한 표정으로 묻는다. "제가 아이를 낳은 적은 있었나요?" 아버지가 대답한다. "있었지요. 한 놈은 착하고 바지런하고, 한 놈은 영특하고 총명하고…." "아이고… 예…." 이 장면에서 객석 주변을 돌아보니 다들 손수건..
-
2015.09.16 (수)
유석재 기자

- 사라진 '쓰기'의 힘… 미술로 살려내다
- 당신은 하루에 손으로 몇 글자나 쓰는가. 컴퓨터나 스마트폰 키보드로 생산하는 '전자 글씨' 말고 오로지 손에 펜을 쥐고 쓰는 진짜 글씨를 어쩌면 한 자도 안 쓰는 이가 태반일 것이다. 우리는 '쓰기'와 손의 힘을 잃어가고 있다."'쓰기'는 모두가 공유하는 기억의 접점이자..
-
2015.09.15 (화)
김미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