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손철주의 옛 그림 옛사람] [31] 개 한 마리 목청 높이자… 동네 개들 따라 짖네
- 그림 왼쪽에 멋을 부려 흘려 쓴 글씨가 있다. 운율을 갖춘 시인데, 뜻을 풀이해보면 문득 웃음이 난다. '한 마리 개가 짖자 두 마리 개가 짖네. 만 마리 개가 한 마리 개를 따라 짖는구나. 아이에게 문밖에 나가 보라 시켰더니, 달이 오동나무 가장 높은 가지에 걸렸다 ..
-
2012.11.04 (일)
손철주 미술평론가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83] 사랑에 빠진 이 여인, 곧 닥칠 운명도 모른 채…
-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 ·1452~1519)는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그림인 '모나리자'를 그렸지만, 그의 본업은 사실 화가가 아니었다. 예술과 공학,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세상 만물에 대한 호기심으로 가득 차 있던 그는 ..
-
2012.10.30 (화)
우정아 포스텍 교수·서양미술사

- [손철주의 옛 그림 옛사람] [30] 서로 물고 뜯다 보면 저런 자 나타난다
- 조개가 모처럼 조가비를 벌렸다. 이때 새가 부리로 조갯살을 쪼았다. 조개는 부리를 물고 놓지 않았다. 새가 조개에게 말했다. "오늘 비가 안 오고 내일도 비가 안 오면 너는 말라 죽는다." 조개가 새에게 말했다. "오늘 못 빠져나가고 내일도 못 빠져나가면 너는 굶어 죽..
-
2012.10.28 (일)
손철주 미술평론가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82] '평범한 사람들의 벽지', 사치품이 되다
- 영국의 공예가이자 사회주의 운동가, 시인이며 출판인이었던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1834~1896)가 디자인하고 자기가 세운 회사에서 인쇄한 벽지다. 꽃 중에서도 수수한 데이지를 단순하게 도안한 이 벽지는 화려한 장식품보다는 평범한 사람들을 위한 소박..
-
2012.10.23 (화)
우정아 포스텍 교수·서양미술사

- [손철주의 옛 그림 옛사람] [29] 임이여, 그만 책에서 눈을 떼 주오
- 사람이 사람에게 옮는 병 중에서 가장 지독한 것이 상사병(相思病)이다. 내리사랑과 치사랑 하나같이 살가워도 짝사랑은 두고두고 서럽다. 모진 그리움 끝에 앓아눕기라도 하면 입은 꿀 먹은 벙어리요, 가슴은 타고 타도 연기가 없다. 그 증세가 오죽하면 옛 노래꾼의 가락에 남..
-
2012.10.21 (일)
손철주 미술평론가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81] "잠시 후 앵무새는 살아난다… 기적은 神 아닌 과학의 것"
- 영국의 화가 조지프 라이트(Joseph Wright of Derby·1734~1797)는 흔히 출생 지명을 따서 '더비의 라이트'라고 불린다. 더비는 18세기 중반부터 기술 혁신을 통해 첨단 기계를 생산하여 전통적인 농경 사회였던 영국을 공업 국가로 변모시킨 산업혁명의 ..
-
2012.10.16 (화)
우정아 포스텍 교수·서양미술사

- [손철주의 옛 그림 옛사람] [28] 수염이 하나도 없는 이 남자, 어떻게 功臣에 올랐나
- 틀에 박힌 초상화의 꼴이 있다. 머리에 번듯한 오사모를 쓰고, 가슴과 허리에는 벼슬의 높낮이를 알려주는 흉배와 각대를 두른다. 옷은 색깔이 다르더라도 깃이 둥근 관복(官服) 차림이라야 한다. 손은 소매 안에서 맞잡은 채 장식이 멋진 의자에 앉아 발은 여덟 팔 자로 벌리..
-
2012.10.14 (일)
손철주 미술평론가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80] "범죄자를 반드시 처벌해야 근대국가"
- 반듯하게 정돈된 농지가 끝없이 펼쳐진 풍요로운 땅 위로 날개를 단 여인이 보기에도 섬뜩한 교수대(絞首臺)를 손에 쥐고 있다. 다른 한 손으로는 "이 여인이 지배하는 한, 누구라도 자유롭고 두려움 없이 여행할 수 있다. 그녀가 악한들을 몰아내기 때문이다"라는 글귀를 펼쳐..
-
2012.10.09 (화)
우정아 포스텍 교수·서양미술사

- [손철주의 옛 그림 옛사람] [27] 남편들이여, 이젠 저렇게 밥상을 차려라
- 한적한 산골에 달랑 집 한 채가 보인다. 등장인물은 단둘이고, 그들은 부부다. 남편은 방 안에 편히 앉았고 아내는 두 손으로 뭔가를 떠받친다. 잘 보니, 밥그릇과 반찬 그릇이 놓인 소박한 밥상이다. 얼굴 위로 치켜든 상이 위태롭기는커녕 몸에 푹 익어선지 아내는 미소를 ..
-
2012.10.07 (일)
손철주 미술평론가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79] 평온한 농촌, 건실한 농부의 모습…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향수였다
- 한 농부가 곡식을 가득 얹은 손수레를 밀고 있다. 추수를 기다리는 들판만큼이나 따스한 느낌의 황금빛 햇살이 온 화면에 스며들었다. 돌담이며 농기구, 담장 위로 수북하게 피어난 꽃까지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은 소박하기 그지없지만, 결코 초라하거나 궁핍한 기색이 없는 평온한..
-
2012.09.25 (화)
우정아 포스텍 교수·서양미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