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eekly Art] 숲이 그린 그림… 재료는 빗물과 흙과 새똥
- “오늘날 우리는 생태적 위기에 직면해 있어요. 자연과 인간의 균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대죠. 이런 상황에서 지구에 살아가는 우리는 자연의 소리에 귀 기울여야만 해요.”..
-
2019.02.15 (금)
아트조선 윤다함 기자

- [Weekly Art] “밭고랑 타던 기억… 이젠 캔버스에서 타죠”
- 2차원 평면 위로 굽이굽이 휘도는 밭이랑이 펼쳐진다. 고향에서 보고 자란 바로 그 고랑이다. “어릴 적 부모님의 밭농사를 돕던 기억이 생생해요. 그때 골을 타 일구던 밭이랑과 뛰놀던 산하의 능선을 화면에 담고 싶었습니다.” ..
-
2019.02.08 (금)
아트조선 윤다함 기자

- [Weekly Art] 올 설 연휴 힐링타임은 미술관에서…
- 손꼽아 기다려온 올해 첫 연휴가 시작됐다. 이번 설 연휴는 주말과 연달아 붙어 무려 5일의 휴일이 주어진다. 늘 시간에 쫓기고 피곤에 찌든 현대인에게 이보다 더 반가운 것이 있을까. 긴 휴일 동안 가족과 친구,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미술 작품으로 힐링하며 서로 교..
-
2019.02.01 (금)
아트조선 윤다함 기자

- [윤다함의 파리에서] 칼로 자해하고 피칠갑… 이름하여 ‘신체예술’
- 자신의 몸을 바탕지로 삼아 자학하는 폭력적인 예술로 대표되는 지나 파네(Gina Pane, 1939~1990). 그는 1960~70년대 유럽에서 유행했던, 신체 그 자체를 소재로 하는 보디아트(Body Art)의 선구자다. 파네에게 캔버스는 다름 아닌 몸이었다. 정치 ..
-
2019.01.30 (수)
아트조선 윤다함 기자

- [Weekly Art] 말하지 않아도 다 보여요
- “작업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구체적인 형상은 지우고 물리적인 존재의 근원에 자리하는 무형의 본질을 현실로 불러내어 작품에 반영하는 거죠.” ..
-
2019.01.25 (금)
아트조선 윤다함 기자

- [Weekly Art] 벗고 까고 내보이고… “이 정도에 놀라지 마시라”
- 그림 폭이 2m가 넘어 한 벽면을 메울 만큼 크다. 그 큰 화면을 커다란 시뻘건 두 얼굴이 뒤덮다시피 하고 있으니 보는 이로서는 흠칫할 수밖에. “대체 이게 뭥미(뭐임)?” ..
-
2019.01.18 (금)
아트조선 윤다함 기자

- [윤다함의 파리에서] 이 그림, 계속 보면 어지러워 쓰러진다는데?
- 크고 작은 원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뱅글뱅글 반복되는 간단한 패턴이 흥미로워 계속 봤더니 눈앞도 삥글삥글 함께 돈다. ..
-
2019.01.11 (금)
아트조선 윤다함 기자

- [윤다함의 파리에서] 플라스틱 불에 녹이고 “이게 예술이오”
- 알베르토 부리(Alberto Burri, 1915~1995)는 합판, 마포, 포대 자루, 플라스틱 등의 폐품을 녹이거나 불태우고 찢고 이를 캔버스에 꿰매는 등 다채로운 시도의 콜라주와 아상블라주 작품으로 대표되는 이탈리아 출신 작가다. ..
-
2019.01.08 (화)
아트조선 윤다함 기자

- [Weekly Art] 작가와 기획자, 1년 조율 끝에 이렇게 합의 봤다
- 전시장에 들어섰는데 작품이 보이기는커녕 칠흑 같이 어둡기만 하다. 거기에 누군가의 목소리도 크게 들리는 것이 전시장이 아니라 연극장에 온 것 같다. 쉬지 않고 들려오는 큰 목소리는 직접 지어낸 이야기를 스스로 나지막이 읊고 있는 김용관의 내레이션이다. 이야기 내용에 맞..
-
2019.01.04 (금)
아트조선 윤다함 기자

- [윤다함의 파리에서] 50년 전에도 오늘날에도 입꼬리 올라가는 것은 여전
- 먹는 것을 좋아하는 ‘먹보씨(Mr. Greedy, 1971)’, 밤새도록 수다를 떨어도 모자란 ‘수다쟁이씨(Mr. Chatterbox, 1976)’, 벽마저도 청소기로 밀어야 직성이 풀리는 ‘깔끔양(Little Miss Neat, 1981)’… 부연 설명이 없더라도 ..
-
2018.12.28 (금)
아트조선 윤다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