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lks
“영화의 클라이맥스처럼…” 한국 생활 6년 차 美작가가 그리는 극적 풍경
  네온 핑크빛 하늘을 가로지르며 추락하는 비행기와 그 아래로는 한 여성이 수영장 앞에 누워 이를 한가로이 지켜보며 태닝을 즐긴다. 말도 안 되는 이 상황을 극적으로 더욱 배가시키는 것은 채도 높은 강렬한 분홍색 하늘과 새빨간 수영복을 입은 여성의 태연함이다. 브리타니..
2020.12.03 (목) 윤다함 기자
소더비가 주목한 ‘사모님’의 그림
 지난해 10월 홍콩에서 열린 소더비 경매에서 작품 두 점이 한화 5억4000만원에, 올해 7월에는 추상화 한 점이 3억3000만원에 낙찰되는 등 대만 추상화가 소피창(Sophie Chang)을 향한 국제 미술계의 관심이 심상치 않다. 전통 산수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2020.12.01 (화) 윤다함 기자
“미술전문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한국미술 메신저 역할 할 것”
손안의 스마트폰에서 스크롤과 탭만으로 콘텐츠의 즉각적인 소비가 이뤄지는 디지털 퍼스트 시대에도 여전히 페이퍼 퍼스트가 건재한 곳 중 하나는 미술 전문지다. 미술계 특성상 전문적이고 심도 있는 긴 호흡의 콘텐츠에 대한 니즈와 더불어 기록과 아카이브에 대한 이해와 중요성이 ..
2020.11.06 (금) 윤다함 기자
“당신은 혼자가 아녜요”… 풍선에 띄워 보내는 위로 한마디
 어릴 적 놀이동산이나 학교 운동회에서 봤던 기억 때문일까. 한껏 탐스럽게 부푼 은박 풍선을 보고 있자면 괜스레 마음이 설레기 마련이다. 이경미가 그리는 풍선은 한쪽이 찌그러지거나 바람이 빠져 쪼그라들었지만 알록달록한 색감과 빛에 반사돼 반짝이는 모습에 기분이 좋아지는 ..
2020.10.28 (수) 윤다함 기자
“점이 모여 선이 되듯… 그래서 저는 조금 낮게 때론 조금 높게”
 윤상렬(50)은 샤프심이란 아날로그 소재와 3D 디지털 방식을 결합한 고유의 작업으로, 새로운 물성을 빚어내 평면임에도 모호한 깊이감과 공간감을 회화로써 실현한 작가다. 국내외 미술계에 그의 이름을 각인시킨 대표작 <다중 징표> <침묵> 시리즈는..
2020.10.20 (화) 윤다함 기자
단 하나의 선으로 공간을 채우는 정그림
 “아무 설명도 써놓지 않고 그저 바닥에 덩그러니 놓곤 해요. 그러면 지나가던 관객들이 하나둘 멈춰 서선 이리저리 살펴봐요. 그러곤 이게 대체 뭐냐고 묻죠.” 바로 그거였다. 정그림(27)이 의도한 그대로였다. 보는 이가 궁금해하며 스스로 추측하고 탐구하게 하는 것. 정..
2020.09.19 (토) 윤다함 기자
자유와 엄격, 고대와 현대… 상극도 합일로 만드는 남자
 2000년 뉴욕, 최울가(65)의 겨울은 지독히도 모질었다. 재료비를 아껴보겠다고 매일 아침 소호 거리로 나가 다른 작가들이 쓰고 버린 캔버스를 주워와 있던 그림을 지우고 그 위에 다시 그림을 그리던 시절이었다. 며칠에 한 번 겨우 세수할 정도로 작업에만 매몰돼 살던..
2020.08.12 (수) 윤다함 기자
예술로부터 시작되는 도시재생프로젝트, "제가 앞장섭니다“
 “저보고 왜 이렇게까지 하냐며 색안경 끼고 바라보는 분들도 있었죠. 그럴 때마다 저는 이렇게 답했어요. 내가 즐겁고 재밌으니까 한다고. 하하” ..
2020.07.29 (수) 윤다함 기자
기억하기 위해 쓰고 지우기 위해 그린다… “나는 신모래 핑크”
 사랑은 누구나 공감하고 경험해본 감정이자 일상일 테다. 이 익숙하고도 진부한 소재를 매혹적인 비일상으로 그려내는 신모래(32)는 밀레니얼세대 사이 확고한 팬덤과 마니아층을 형성한 스타 작가다. 그의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현대인이라면 한 번쯤은 접했을..
2020.07.17 (금) 윤다함 기자
미술관 말고 작가의 그곳에서 만나요
  작업실. 작가에게 산실의 공간이자 치열한 창작, 그 삶 자체인 곳. 속살과도 같이 은밀하면서도 영 궁금한 그곳이다. “저도 어렸을 때 그랬어요. 저 작가의 작업실은 어떻게 생겼을까. 어떤 곳에서 그림을 그려낼까. 제멋대로 상상해보기도 했더랬죠. 어쩌다가 기회가 닿아 ..
2020.05.19 (화) 윤다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