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lks
불에서 태어나 빛으로 완성되다
 붉은 조명이 핏빛처럼 음산히 번지는 좁고 기운 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천장에서부터 눈높이까지 내려온 알 수 없는 기괴한 작은 형상들을 마주하게 된다. 한눈 팔리기도 잠시, 생각보다 꽤나 가파른 계단에 정신을 단단히 부여잡고 조심스레 한 발 한 발 내딛는다. ..
2021.06.29 (화) 윤다함 기자
진주가 된 글자… “읽을 순 없지만 감정은 고스란히”
 한 자 한 자씩 지나갈 때마다 영롱한 흔적이 남는다. 진주가 된 글자는 시간이란 줄에 꿰여 화면(畫面)으로 빚어진다. 고산금(56)은 새하얀 우드패널 위에 핀셋으로나 겨우 집을 정도의 자그마한 새하얀 진주알을 수없이 촘촘히 붙이는 독특한 조형 언어로 잘 알려져 있다. ..
2021.06.18 (금) 윤다함 기자
[한국 미술 ‘파워 피플’③] 송보영 국제갤러리 부사장 “세계가 한국미술에 주목한 이유? ‘진화된 한국성’ 덕분”
 바야흐로 물이 들어왔다. 최근 미술시장은 MZ세대의 유입과 시장의 유동자금의 매력적인 투자처로 미술시장이 인식되면서 대중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실제 최근 개최된 제10회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BAMA)의 작품 판매 총액은 65억원에 달해 역대 최고 성과를 기록했..
2021.06.14 (월) 윤다함 기자
기존에 없던 새로운 문화체험 공간 ‘포도뮤지엄’, 제주에 개관
 제주도는 ‘문화예술의 섬’이라고 불릴 정도로 미술관, 박물관, 유명 건축가의 건물 등 섬 곳곳에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가 자리하고 있다. 지난 4월 서귀포시 안덕면에 개관한 ‘포도뮤지엄(PODO Museum)’은 기존 미술관이나 박물관과는 차별화되는 색다른 문화적 체험..
2021.05.23 (일) 제주=윤다함 기자
[한국 미술 ‘파워 피플’②] 박승조 서보미술문화재단 이사장 “작품 감상부터 미술시장까지… 디지털화는 필연적 흐름”
 바야흐로 물이 들어왔다. 최근 미술시장은 MZ세대의 유입과 시장의 유동자금의 매력적인 투자처로 미술시장이 인식되면서 대중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실제 최근 개최된 제10회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BAMA)의 작품 판매 총액은 65억원에 달해 역대 최고 성과를 기록했..
2021.05.04 (화) 윤다함 기자
[한국 미술 ‘파워 피플’①]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 “미술은 밥이다”
바야흐로 물이 들어왔다. 최근 미술시장은 MZ세대의 유입과 시장의 유동자금의 매력적인 투자처로 미술시장이 인식되면서 대중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실제 최근 개최된 제10회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BAMA)의 작품 판매 총액은 65억원에 달해 역대 최고 성과를 기록했으며..
2021.04.24 (토) 윤다함 기자
아트 인플루언서 ‘아트드렁크’가 바라본 한국 미술시장
 인스타그램 ‘아트드렁크(@artdrunk)’로 잘 알려진 게리 예(Gary Yeh·27)는 팔로워 수가 10만명에 달하는 아트 인플루언서다. ‘예술을 배우는 가장 쉬운 방법(The Easiest Way to Learn About Art)’을 표방하는 동명의 미디어 컴퍼..
2021.04.19 (월) 윤다함 기자
‘마이큐’, 뮤지션에서 페인터로… “당신은 앞으로 어떤 삶을 살 것입니까?”
 마이큐(MY Q·40)가 회화를 내걸고 생애 첫 개인전을 열었다. 뮤지션으로 잘 알려진 그 ‘마이큐’ 맞다. 지난 15년간 싱어송라이터로 활약해온 그에게 자신을 표현하고 대중과 소통하는 것은 가장 자신 있는 일이었을 터. 본인의 감정 표출과 이야기를 청각화하는 대신,..
2021.03.19 (금) 윤다함 기자
“가만히 앉아 돈 버는 길”… ‘미술품 물납제’ 도입된다면
 시작은 지난해 5월이었다. 간송미술관이 소장 중인 국가보물 금동불상 두 점을 케이옥션에 내놓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부터다. 사정은 이러했다. 간송미술관이 누적된 재정난을 해소하고 막대한 상속세를 마련하기 위해 국보를 팔겠다고 한 것. 그러나 초유의 관심 속에 열린 경..
2021.01.22 (금) 윤다함 기자
“한없이 차가울지라도 태생은 용해로… 이중적인 그대, 유리”
 깨지거나 안 깨지거나 둘 중 하나다. 유리에는 중간이 없다. 유리라고 하면 으레 차갑고도 단단한 유형의 사물을 연상하기 마련이지만 본래 그 태생은 한없이 뜨겁고도 유연하다. 섭씨 천 도가 넘는 가마 불길 속에서 녹아내리고 생동하고 요동하며 유리는 그제야 생명을 얻는다...
2021.01.15 (금) 윤다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