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머리에 그리는 아트여행⑭] 신에게 바친 지상의 천국
- 아르누보(Art+Nouveau)는 ‘새로운 예술’이라는 뜻으로, 19세기 말 유럽에서 생겨난 장식미술 양식을 지칭한다. 아르누보의 특성은 자연의 모습, 즉 식물의 줄기 같은 곡선을 모티브로 한다는 점과 장식성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부드러운 느낌과 환상적인 느낌을 ..
-
2019.04.08 (월)
아트조선

- [머리에 그리는 아트여행⑬] 가우디의 최고 걸작품은 여전히 ‘현재진행형’
- 독실한 카톨릭 신자였던 가우디는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을 가장 성스럽고 아름답게 만들고 싶었다. 가우디 인생의 최고 걸작품이라 할 수 있는 사그리다 파밀리아 성당은 가우디 사후 100주년인 다가오는 2026년 완공 예정이나 기부금만으로 건설하기 때문에 진행 속도에 한계..
-
2019.04.01 (월)

- [머리에 그리는 아트여행⑫] 1900년 전 지어진 로마인들의 오락시설
- 콜로세움(Colosseum)은 고대 로마 시대의 건축물 가운데 하나로 로마 제국 시대에 만들어진 원형 경기장으로, 현재는 로마를 대표하는 유명한 관광지로 탈바꿈했다. 원래 이름은 플라비우스 원형 극장이며, 서기 70년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착공해 10년 뒤 아들인 티투..
-
2019.03.25 (월)
아트조선

- [머리에 그리는 아트 여행⑪]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성당
- 파리에는 세느강이 흐르고, 그 가운데 시테섬이 있다. 시테섬에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Notre-Dame de Paris)이 우뚝 서 있다. 세느강에서 바라보는 노트르담 성당은 더욱 아름답게 느껴진다. 이 건물은 중세에 지어진 고딕 성당으로 높..
-
2019.03.18 (월)
아트조선

- [머리에 그리는 아트 여행⑩] 그리스도교, 아랍, 유대 문화가 융합된 그곳
- 스페인의 현재 수도 마드리드보다 더 스페인 문화를 대변해주는 도시가 바로 톨레도다. 도시 전체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톨레도는 펠리페 2세가 1560년경 마드리드로 수도를 옮기기 전까지 옛 수도였다. 마드리드에서 남서쪽으로 67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타호강이..
-
2019.03.11 (월)
아트조선

- [머리에 그리는 아트 여행 ⑨] 부르봉 왕조의 흥망성쇠
- 이천여 개의 방과 오천 명 이상이 거주할 수 있는 이 거대하고 화려한 건축물에는 누가 살았을까?프랑스 절대주의 왕제를 상징하는 베르사유 궁전. 이곳에는 루이 14세와 루이 15세 그리고 루이 16세가 살았다. 베르사유 궁전은 루이 14세의 문화적 업적 중 하나로 꼽힌다...
-
2019.03.04 (월)
아트조선

- [머리에 그리는 아트 여행⑧] 베네치아의 세 보석들
- 수백 개의 섬으로 이뤄진 베네치아에서 유독 독특하다고 꼽히는 부라노, 무라노, 리도섬. 산 마르코 광장이 있는 곳에서 바포레토(Vaporetto)라는 배를 타고 이들 섬을 구경할 수 있습니다. 바포레토는 베네치아의 대중교통 수단으로 육지의 버스와도 같습니다...
-
2019.02.25 (월)
아트조선

- [Specialist] 빈센트를 사랑하는 이들에게
- 오늘날 몇몇 예술가의 이름은 실질적인 품질 보증을 넘어 이른바‘감성’까지 담아내는 브랜드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1853~1890)를 미술계가 낳은 최고의 대중 브랜드로 꼽는다면 반대하는 이는 그리 많지 않을 ..
-
2019.02.19 (화)
백지홍 월간미술세계 편집장

- [머리에 그리는 아트 여행⑦] 승전가 울려 퍼지는 파리의 심장
- 프랑스 파리는 역사가 오래된 대도시답게 골목 구석구석 볼거리가 풍부하다. 지도를 보지 않고 목적지 없이 걷더라도 충분히 아름다운 도시다. 좁은 골목을 돌아다니다 너른 샹젤리제 거리에 도착하면 가슴이 뻥 뚫린 듯한 개방감을 느낀다. 가벼운 발걸음으로 샹젤리제 거리의 끝까..
-
2019.02.18 (월)

- [Specialist] 헤매고 탐험하고 발견하러 예술 속으로 들어간다
- 사람의 손짓·몸짓, 목소리에 예술작품이 반응한다.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미디어파사드(Media-facade), 홀로그램,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키네틱(Kinetic) 등으로 관객은 직접 작품에 참여하고 변형하며 의미를 찾아간다..
-
2019.02.12 (화)
안재영 광주교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