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체와 미술(2) - 목: 연장과 절단의 미학
- 목에 관한 인상을 떠오르는 대로 나열해 보자. 중요한 신체 부위, 머리와 몸을 잇는 기관, 목숨과 직결된 급소, 참수, 목걸이, 아름다운 목선. 목은 중요하고, 잇고, 위험하며 아름답다. ..
-
2025.03.31 (월)
임야비 소설가·연출가·총체극단 '여집합' 단장

- 신체와 미술(1) - 등(背): 신체의 여집합
- 등의 해부학적 정의는 모호하다. 위로는 어깨, 양옆으로는 옆구리, 아래로는 골반과 엉덩이와 접해있지만 그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하지만 등의 국경에는 영토 분쟁이 없다. 인접한 어깨, 옆구리, 골반은 물론 다른 어떤 신체 부위도 탐내지 않는 황무지이기 때문이다. ..
-
2025.03.04 (화)
임야비 소설가·연출가·총체극단 '여집합' 단장

- 디지털 유목민 아티스트 슈리칭의 미래 미리보기
- 백남준은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이 발명되기 15년 전인 1974년, 이미 인터넷을 예상하고 '전자초고속도로(Electronic Super highway)'란 단어로 현대사회의 웹문화와 대중매체를 예견했다. 1990년대에 1세대 넷아트가 등장했고, 2..
-
2024.05.14 (화)
전영 독립 큐레이터·Iron Velvet 대표

- 단색화란 도대체 무엇인가②
- 단색화는 ‘회화의 출발’로서의 추상화 신기하게도 단색화 이야기는 모노크롬 이야기와 다르다. 회화의 종착점에 다다른 모노크롬이 차마 소멸되지 못하고 머뭇거리고 있던 바로 그 때, 서양 미술의 과거 유산이 거의 해체된 바로 그 시점에 단색화는 시작됐다. 모노크롬은 계속 ..
-
2024.04.26 (금)
케이트 림 아트플랫폼아시아 대표

- 단색화란 도대체 무엇인가①
- 이 글은 정준모 디렉터가 기획한 전시 “여기 그 이상: 단색화 넘어, 너머로”(김근태, 김택상, 이진우, 남춘모, 김춘수 참여/ 2023년 11월 2일 – 2024년 1월 13일, 대구 리안갤러리 주최)에 소개된 작품들의 미술사적 배경으로 논의되는 ‘단색화(單色畵)’..
-
2024.04.24 (수)
케이트 림 아트플랫폼아시아 대표

- 기후위기 시대의 아트페어
- 지난 3월 스코틀랜드의 한 미술관에서 빅토리아 여왕의 흉상이 잼과 수프 테러를 당했다. 이러한 사건은 처음이 아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는 케이크 테러를, 빈센트 반 고흐의 <해바라기>와 <씨 뿌리는 사람>은 수프 테러를 ..
-
2024.04.22 (월)
미술비평가 김지연

-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자 ’스테파니 딘킨스‘, 평등한 AI 비전과 협력의 힘을 읽다
- 지난해 5월 19일 (주)LG와 구겐하임 뮤지엄(Solomon R. Guggenheim Museum)이 제1회 ‘LG 구겐하임 어워드(LG Guggenheim Award)’ 수상자로 스테파니 딘킨스(Stephanie Dinkins)를 지목했을 때, 대중적인 ‘셀럽’ ..
-
2024.01.30 (화)
전영 독립 큐레이터·Iron Velvet 대표, 에디팅=윤다함 기자

- [Specialist] 미술품 물납제와 가치감정②
- ◆문화재 미술품 가치평가의 고려요소 문화재 미술품의 시장수요는 가격을 평가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다. 주택시장처럼 비교를 통해 똑같은 것은 아니지만 시장에서 유사한 품목의 수요 수준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요가 많다면 가격은 올라갈 것이다. 특히 비교 대상이 ..
-
2021.12.03 (금)
정준모 큐레이터(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

- [Specialist] 미술품 물납제와 가치감정①
- ◆시작하는 말 원래 물납제도는 납세대상자에게 부과된 세금의 현금 납부가 불가능한 경우 재산 즉 현금외의 물건으로 납부하도록 하는 조세 납부방법으로서 납세의무자에게는 납세 편의를 제공하고 과세 관청에서는 조세 징수권을 확보하는 상호이익을 위해 도입된 제도다. 물납의 역..
-
2021.12.03 (금)
정준모 큐레이터(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

- [최울가의 아뜰리에 일기⑨] Green Point 작업실 앞
- ◆[최울가의 아뜰리에 일기]는 작가의 작품과 작업 세계에 영향을 주었던 일상의 기록을 소개하는 코너로 Art Chosun에서 매주 2회 (화,목) 총 6주간 연재됩니다...
-
2020.09.10 (목)
아트조선 한아리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