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결하고도 강렬하게… 김창열의 물방울 변천사 50년 ‘물방울 연대’展 개막
- “영상 속에 김창열 화백이 작업하는 장면이 나오던데, 저렇게 한 방울 한 방울 물방울을 그려냈구나 싶어 가슴이 뭉클했습니다.” “작품 세계는 물론, 그간 잘 알려지지 않은 개인적인 삶까지도 함께 조명해 김창열 화백이 왜 그렇게 물방울에 천착했는지, 그에게 물방울이 어떤..
-
2023.09.06 (수)
윤다함 기자

- 청주공예비엔날레 학술 행사 참여자 모집
- 지난 1일 개막해 국내외 관람객의 호평을 얻으며 순항 중인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가 국제적 공예 담론을 형성과 넥스트 문화도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학술 행사 ‘크라프트 서밋’을 개최한다. ..
-
2023.09.05 (화)
윤다함 기자

- ‘뱅크시’ 파쇄된 그 작품, 한국에 왔다
- 뱅크시(Banksy)의 ‘Girl with the Balloon’이 2018년 런던 소더비 경매(Sotheby’s)에 출품됐다. 해당 작품은 낙찰 직후, 뱅크시는 본인이 액자 내부에 숨겨둔 파쇄기를 직접 작동시켜 이를 스스로 찢는 해프닝을 벌였고 단박에 세상의 이목을 ..
-
2023.09.05 (화)
윤다함 기자

- 작년보다 더 빵빵하다 ‘아트 위크 2023’… 놓치지 말아야 할 전시 15선
- 다시 한번, 서울 전역이 미술로 술렁이는 ‘키아프·프리즈 아트 위크’가 다가왔다. 낮밤으로 전시와 행사가 이어지는 가운데, 꼭 봐야 할 전시 15개를 엄선해 ▲한남/용산 ▲청담/강남 ▲삼청/종로 세 권역으로 나눠 소개한다. ..
-
2023.09.04 (월)
윤다함 기자

- 공예의 지형도 탐험하는 여정이 시작됐다…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 개막
- 공예의 오늘날과 미래의 지도를 보여주는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가 8월 31일 문화제조창 야외광장에서 개막식을 시작으로 45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했다. 10월 15일까지 청주 문화 제조창과 청주시 일원에서 펼쳐지는 올해 비엔날레에는 ‘사물의 지도’라는 주제 아래 세..
-
2023.09.01 (금)
청주=윤다함 기자

- 두려움도 상실감도 없는 세계… 김창열의 ‘물방울 연대(連帶)’
- 물방울, 그것은 입으로 훅 불기만 해도 흩어져 버릴 듯 여리고 연약하다. 그러나 김창열(1929~2021)의 화면에서는 언제나 영롱히 반짝이며 보는 이의 마음을 고요하며 안연히 다독여 준다. 물이란 본디 순수하고 온화하며 생명력을 지니면서도 강력한 힘과 에너지를 가진..
-
2023.08.29 (화)
윤다함 기자

- 박서보, 이우환 발굴한 ‘도쿄화랑’이 주목한 포스트 단색화가 ‘김근태’
- 도쿄화랑은 1975년 권영우·박서보·서승원·허황·이동엽 한국 작가 5인이 참여한 ‘다섯 개의 흰색’전(展)을 기획, 개최하는 등 오래전부터 한국 미술에 관심을 두고 한국 미술가를 국제무대에 알리는 데 일조해 왔다. 도쿄화랑 설립자 야마모토 다카시는 생전 한국을 자주 ..
-
2023.08.28 (월)
윤다함 기자

- 한발 빨리 '청주공예비엔날레'를 즐기는 방법?… 프리뷰전 '조화의 순간'
- 개막이 코앞으로 다가온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를 프리뷰 전시로 한발 빨리 미리 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청주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위원장 이범석 청주시장)가 현대백화점 충청점과 손잡고 9월 12일까지 비엔날레 프리뷰 전시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조화의 순간'을..
-
2023.08.23 (수)
윤다함 기자

- 60년 만에 고국 돌아온 장욱진의 첫 ‘가족’
-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직무대리 박종달)은 장욱진 최초의 가족도인 1955년작 ‘가족’을 발굴해 국립현대미술관의 소장품으로 수집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1964년 반도화랑에서 개최된 장욱진 첫 개인전에서 일본인 개인 소장가에게 판매된 후 행방을 알 수 없었던..
-
2023.08.22 (화)
윤다함 기자

- '물'로 구현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송창애 'WATER ODYSSEY'展
- 하나와 또 다른 하나를 잇기 위한 푸른 물의 몸짓과 물꽃이 피어난다. 송창애는 '물로써 물을 그리는 WATERSCAPE' 회화 시리즈를 한 축으로 최근 회화 매체와 디지털 미디어 기술, 공연 예술, 과학 분야 등 타 영역과의 융합을 시도하며 표현방식과 소통방식의 확장에..
-
2023.08.21 (월)
윤다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