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
물체의 존재 방식 그대로… 조현화랑 ‘키시오 스가’
 일본의 모노하 운동을 이끈 키시오 스가(Kishio Suga)의 개인전이 부산 조현화랑에서 14일부터 내년 2월 18일까지 열린다. ..
2023.12.06 (수) 김현 기자
미술관 외벽도 전시장… 정세인 ‘나는 나의 힘을 느낀다’
 미술관 후면 외벽에 한눈에 읽기 힘든 글귀가 쓰여 있다. 정세인의 대형 텍스트 설치 작업 ‘나는 나의 힘을 느낀다(I Feel My Power)’(2023)다.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의 외벽에 내걸린 폭 23미터에 이르는 이 대작은 작가가 소설 ‘데미안’에서 영감을 받아..
2023.12.05 (화) 윤다함 기자
현대인 꼭 닮은 추리닝 입은 ‘태권브이’… 성태진 ‘내 모든 날과 그때’
 성태진(49)은 ‘태권브이’라는 대중적 상징을 중심으로 우리 삶의 근본적인 인간성을 탐구해 왔다. 어린 시절 즐겨봤던 만화 속 캐릭터 태권브이를 모티브로 판화 기법을 사용해 양각으로 목판에 도상을 새기고 겹겹이 색을 칠하는데, 작업 속 태권브이는 강철 로봇의 영웅적인..
2023.12.04 (월) 윤다함 기자
강재영 청주공예비엔날레 예술감독, 유공 표창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와 함께 한 1년 반의 시간이 하루하루 소중하고 더할 나위 없이 행복했습니다. 이 기억과 청주에 대한 애정을 오래도록 간직하겠습니다.” 57개국 3000여 점의 작품으로 30만8000여 명 관람객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
2023.12.04 (월) 윤다함 기자
작가의 ‘캐비닛’ 안에는 무엇이 들어있을까… ‘디어 캐비닛’展
 전시장 공간이 하나의 큰 캐비닛으로 변신한다. 작가들은 그 ‘캐비닛’ 안에 무엇을 넣었을까. 김덕한, 나난, 박지은, 사이먼 고, 송민규, 신봉철, 안다빈, 이미주, 이병호, 이시산, 재진, 전아현, 최민혜, 피정원, 홍성준 작가 15인이 참여하는 ‘디어 캐비닛(DE..
2023.11.30 (목) 윤다함 기자
동시대적 조형미로 재탄생한 ‘책거리’… 엄미금 개인전 ‘더 페이지’ 개막
 “전통 책거리에서 나타나는 다시점이나 역원근법에 매료돼 민화에 빠졌던 저 자신을 상기하며 이를 아크릴 물감과 캔버스로써 재료를 달리해 오늘날의 책거리를 그렸어요. 책더미를 자유분방하게 해체시켜 기하학적 도형으로 구상해 미니멀한 것이 특징입니다.” 한국 전통 민화의 맥..
2023.11.28 (화) 윤다함 기자
‘권옥연 그레이’의 정수 한자리에… 현대화랑 ‘권옥연 100주년 기념전’
 한국 근현대미술의 거장 권옥연(1923~2011)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 '권옥연 100주년 기념전'이 12월 16일까지 현대화랑에서 열린다. 권옥연은 특정 사조나 단체 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독특한 톤과 색채 등 특유의 화풍을 이룩해 내며 독자적인 미술 세계..
2023.11.28 (화) 윤다함 기자
파리에서 마주한 통영 앞바다… 심문섭, 패로탕 본사에서 개인전 가져
 정형화된 장르와 매체의 한계를 벗어나 바다와 자연을 담은 고유의 회화를 통해 예술의 무한한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탐구하고 표현해 온 심문섭(80). 유년 시절부터 바다의 무한함과 그 안에서의 질서, 그것의 거대한 에너지를 직접 체험한 그는 자연의 원리와 순환의 메시지를 ..
2023.11.24 (금) 윤다함 기자
다가올 미래에 대한 고찰… ‘느리고 빠른 이식’展
 우리가 지나온 수차례의 이식과 재조합, 거부와 승인을 앞으로 어떤 실험과 합의를 통해 나아갈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모색하고 다가올 미래를 가늠하는 전시 ‘느리고 빠른 이식(A Deliberate and Rapid Transplant)’가 29일까지 문래예술공장 1층..
2023.11.23 (목) 윤다함 기자
“네모 안의 너와 나”… 이슬아가 포착한 네모 세상 속 도시 풍경
 빌딩 사이에서 요가하는 사람, 테니스를 치는 사람 등 네모반듯한 빌딩숲 속에서 각양각색의 방식으로 살아가는 이들을 화면에 담아내는 이슬아는 현대인의 모습과 도시의 풍경을 소재로 삼아 일상을 포착한다.  창의 네모난 형태는 단지 창문의 형상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도..
2023.11.20 (월) 윤다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