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
국립현대미술관 6일 재개관… 온라인 사전예약제 운영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이 6일부터 재개관한다. 국내 코로나19 확산 추세가 완화되고 생활방역으로 전환됨에 따라 잠정 휴관을 종료하고 사전 예약자에 한해 관람이 가능하도록 시간당 입장 인원수를 제한해 ‘거리두기 관람’을 진행한다. ..
2020.05.06 (수) 아트조선 한아리 에디터
롯데뮤지엄 ‘스누피’展 8일 재개관
코로나19로 인해 중단됐던 롯데뮤지엄의 ‘달 착륙 50주년·스누피 탄생 70주년 기념 특별전’이 8일부터 재개된다. 이번 전시는 삶에 대한 철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탄생한 스누피를 재해석한 작가들의 시선을 통해 우주를 향한 인류의 꿈을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자리다...
2020.05.05 (화) 아트조선 한아리 에디터
공사장에 낀 대형 베어 벌룬… “쫓기듯 사는 현대인 같아”
  베어브릭 형상의 작업을 활용한 패션브랜드 등과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대중에게 눈도장을 찍은 임지빈(36)은 소수만의 난해한 예술이 아닌 모두가 즐기고, 향유할 수 있는 미술을 지향해왔다. 2011년부터 전 세계를 돌며 작가의 베어 벌룬을 직접, 설치, 촬영해온 ‘에..
2020.05.01 (금) 윤다함 기자
김종학, 김근태, 우고 리바 등 국내외 현대미술 한눈에
어반아트가 현대미술의 맥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를 개최한다. 소장품전 ‘아늑한 긴장’은 김근태, 박서보, 양대원, 이승희, 존 레이몬드 헨리, 김강용, 김종학, 이영섭, 우고 리바, 박종필, 이지은 등 국내외 유명 작가 11인의 작품 27점으로 꾸려진다. 예리한 긴..
2020.04.29 (수) 윤다함 기자
“디지털 정보화 시대에 회화는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디지털 정보화 시대의 오늘날, 소통수단은 날로 발달하고 다양해지고 있지만, 정작 진정한 소통은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대미술은 어떻게 동시대적 소임을 해낼 수 있을까...
2020.04.27 (월) 윤다함 기자
[기획특집│미술도 언택트 시대②] 유튜브, 미봉책 넘어 디지털뮤지엄 구실 톡톡
 국립현대미술관은 지난 3월 30일 올해 첫 신규 전시 ‘미술관에 書: 한국 근현대 서예전’을 개관 이래 최초로 유튜브 영상을 통해 개막했다. 코로나19로 인해 미술관이 휴관에 들어가며 개막 일정이 불투명해지자 일단 유튜브에다가 전시장을 차린 것이다. 전시 담당자인 배원..
2020.04.24 (금) 윤다함 기자
2020 종근당예술지상에 김선영·유승호·최수련
2020년 종근당예술지상에 김선영, 유승호, 최수련 세 명의 작가가 선정됐다. 선정작가에게는 3년간 매년 1000만원씩 총 3000만원 창작지원금과 지원 3년째 되는 해에 전시 기회를 제공한다...
2020.04.22 (수) 윤다함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국립문화예술시설 휴관 유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유지와 공공시설의 운영 중단 방침에 따라 국립현대미술관(과천, 서울, 청주, 덕수궁)을 비롯한 소속기관 24곳의 휴관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2020.04.20 (월) 아트조선 한아리 에디터
[기획특집│미술도 언택트 시대①] 코로나가 바꾼 관람 문화… 작품 감상·구매 모두 온라인으로
 코로나19가 전시 관람 문화도 바꿔놨다. 국내 코로나 상황은 미국과 유럽과 비교해 다소 안정세에 접어들었다고 하지만, 지난 몇 달간 마스크 쓰기와 대면 접촉 최소화에 길들여진 대중들은 미술관이나 갤러리에 직접 찾아가기를 여전히 꺼리는 상황이다. 이에 굳이 현장을 가지 ..
2020.04.18 (토) 윤다함 기자
일상적 물건에서 발견한 작품 ‘오브제’
미술계에서 ‘오브제’는 자주 사용되는 단어 중 하나다. 물건을 뜻하는 프랑스어인데, 미술용어 범주에서는 ‘주제에 대응해 일상적 합리적인 의식을 파괴하는 물체 본연의 존재 방식’이란 다소 난해한 뜻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다다와 초현실주의 작가들이 그 당..
2020.04.16 (목) 윤다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