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서울옥션 미술품 경매… 이중섭 파이프, 권진규 '명자' 등

1951년 3월. 부산에서 공보처 차장으로 근무하던 이헌구 앞으로 제주도에서 소포가 하나 도착했다. 발신인은 화가 이중섭. 꾸러미 속에는 '동료 화가 김환기에게 꼭 전해달라'는 메모지와 파이프가 들어 있었다. 파이프는 당대 유명 평론가였던 이헌구와 우인(友人)들이 모인 통술집에서 김환기에게 전달됐지만 며칠 후 이씨에게 되돌아왔다. 술에 얼큰하게 취한 김환기가 "이 파이프는 이 선생이 소장하는 게 맞으니 다시 전달하겠다"를 외쳤기 때문이다.
이중섭이 서귀포 시절 직접 만든 파이프가 66년 만에 처음 그 모습을 드러낸다. 28일 서울 평창동 서울옥션스페이스에서 열리는 제144회 서울옥션 미술품 경매에서다. 평소 파이프 담배를 즐기던 김환기를 위해 이중섭이 제작한 것으로, 물고기를 잡고 밧줄을 끄는 듯한 인물의 형상과 이중섭 은지화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게가 조각돼 있다. 선친(이헌구)으로부터 물려받아 이를 소장해온 이재복(70)씨는 "이중섭 선생이 조각에도 뛰어난 실력을 갖추고 있었다는 걸 알리고 싶었다"고 했다. 경매 추정가는 2억~3억원.

한국 조각의 선구자인 권진규의 청동 조각 '명자'도 나온다. 살짝 경직된 표정이지만 고운 옆면을 가진 처녀 조각상이다. 이 작품은 실제 모델이었던 남명자 전 아주대 교수가 경매에 들고 나와 눈길을 끈다. 당시 25세였던 남 교수는 "학생 시절 권 선생님을 사사(師事)하던 친구 덕에 작업실에 놀러가 밥도 먹으며 선생님과 친해졌는데, 그때 모델이 되어드린 것"이라고 전했다. 남 교수는 "조각의 무표정한 얼굴이 권 선생님의 외로웠던 '마음밭'을 보는 듯했다"며 "이 작품이 오래오래 소중히 간직할 주인을 만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