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9.01.30 09:31
F.X 하르소노, 김구림, 레나토 아블란 등
13개국 작가 100명 170여 점
1월 31일부터 5월 6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국제기획전 <세상에 눈뜨다: 아시아 미술과 사회 1960s-1990s>가 1월 31일부터 5월 6일까지 과천관에서 열린다.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각 국가의 사회·정치·문화적인 변화 속에서 진행된 아시아 현대미술을 조망하는 전시로, 국립현대미술관, 도쿄국립근대미술관, 싱가포르국립미술관, 일본국제교류기금 아시아센터의 공동 주최로 4년여 간의 조사·연구를 바탕으로 기획했다.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인도, 미얀마, 캄보디아 등 아시아 13개국의 주요 작가 100명의 작품 170여 점을 선보인다.

1960년대부터 1990년까지 아시아는 탈식민, 이념 대립, 베트남 전쟁, 민족주의 대두, 근대화, 민주화 운동 등 급진적인 사회 변화를 경험하는데, 속에서 예술가들은 권위와 관습에 ‘저항’하고 억압으로부터 ‘해방’하는 태도를 중요하게 여겼다.
또한 기존 예술의 개념과 범주, 미술 제도에 도전하는 실험적 미술 사조를 이끌었다. 주체성에 대한 자각과 서구근대주의의 비판은 ‘예술을 위한 예술’에서 벗어나 사회 맥락에서 예술을 파악하고 다양한 미학을 시도하는 등 새로운 미술 운동을 출현시켰다.
급진적이고 실험적인 예술 실천은 나라마다 다른 시기에 나타났는데 한국·일본·타이완은 1960~70년대, 싱가포르·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필리핀·태국·인도 등은 1970~80년대, 중국은 1980~90년대로 꼽힌다.
이번 전시명 ‘세상에 눈뜨다’는 이 시기 아시아 현대미술의 새로운 경향이 외부나 서구로부터 자각된 것이 아니라 내부로부터 정치적 자각, 이전과 다른 예술 태도, 새로운 주체 등장을 통해 자발적으로 이뤄졌음을 의미한다.

전시는 ‘구조를 의심하다’ ‘예술가와 도시’ ‘새로운 연대’ 등 총 3부로 구성된다. 1부 ‘구조를 의심하다’는 20세기 중반 이후 사회·정치·문화가 급변하며 미술의 경계가 시험대에 오르고 미술 정의가 변화하기 시작했던 시기를 다룬다. 회화나 조각 같은 전통 매체 대신 신체나 일상의 재료를 이용하며 다양한 삶의 모습을 표현한 작품을 볼 수 있다. S. 프리얀토(인도네시아)의 <프랑스산 모자>, 이승택(한국)의 <하천에 떠내려가는 불타는 화판>, 이강소(한국)의 <소멸—선술집>, 나카니시 나츠유키(일본)의 <콤팩트 오브제>, 탕다우(싱가포르)의 〈도랑과 커튼> 등이 걸린다.
2부 ‘예술가와 도시’는 1960년대 이후 급격한 근대화와 산업화에 따라 새롭게 떠오른 도시 환경이 어떻게 예술가의 작품과 예술실천에 영향을 미쳤는지 조명한다. 예술가가 도시(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예술태도와 방식을 포괄하며, 화이트 큐브를 벗어나 거리, 지하철, 공원 등 도시 공간 곳곳에 침투해 ‘예술과 일상의 통합’ ‘예술과 사회의 소통’을 실현하고자 했던 아방가르드 예술가의 퍼포먼스를 주목한다. 오윤(한국)의 <마케팅 I : 지옥도>, 아카세가와 겐페이(일본)의 <대일본 0엔 지폐>, 왕진(중국)의 <얼음 96 중원>, 김구림(한국)의 <1/24초의 의미> 등을 만날 수 있다.

미술의 사회적 역할에 주목하는 3부 ‘새로운 연대’에서는 태국의 ‘태국예술가연합전선’, 필리핀의 ‘카이사한’, 한국의 ‘민중미술운동’ 등 집단적 ‘연대’를 토대로 권력, 사회적 금기와 이데올로기에 도전한 예술행동주의 작품을 대거 소개한다. 주요 작품은 나카무라 히로시(일본)의 <기지>, 파블로 바엔스 산토스(필리핀)의 <매니페스토>, 웡호이청(말레이시아)의 <나는 꿈이 있다 (I)> 등이다.
민주화, 탈식민주의, 반 모더니즘 등 급격한 변화 속에서 사회적 소통을 실현한 아시아 예술은 국가를 뛰어넘어 초국가적으로 바라볼 때 시공간을 가로지르는 예기치 않은 공명을 드러낸다. 이번 전시는 다양성이 공존하는 아시아 현대미술의 역동적인 지형도를 그려낼 뿐 아니라 서구 중심의 미술사 서술을 재구성하며 아시아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전시 개막일인 31일 과천관에서 연계 강연 프로그램 <아시아 현대미술의 접점>이 진행된다. 전시를 공동 기획한 각국 큐레이터와 주요 작가들이 참석, 주제 발표와 대담으로 전시의 이해를 돕는다. 5월 6일 폐막 후, 6월 14일부터 9월 15일까지 싱가포르국립미술관을 순회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