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6.06.01 10:12

국민 10명 중 4명은 ‘문화가 있는 날’을 잘 모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융성위원회가 지난달 27일부터 5월11일까지 여론조사회사 월드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5세 이상 2500명을 대상으로 벌인 ‘문화가 있는 날’에 대한 2016년 제1차 인지도 조사를 한 결과, 42.4%가 ‘문화가 있는 날’을 잘 모른다고 답했다.
‘잘 안다’는 57.6%였다. 이는 지난해 8월 시행한 직전 조사 결과보다 12.4%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특히 50~60대 인지도가 직전 조사 결과보다 각각 25%포인트, 24.4%포인트 상승한 54.5%와 47.8%로 나타나 전반적인 인지도 상승을 견인했다. 인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61.4%), 가장 낮은 지역은 대구·경북(54.5%)으로 7.0%포인트의 격차를 보였다.
인지도가 가장 많이 개선된 지역은 부산·경남·울산과 광주·전라도로 직전 조사 결과보다 각각 18.9%포인트, 18.4%포인트 증가한 58.5%와 58.4%를 기록했다.
‘문화가 있는 날’을 아는 사람 중 ‘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율은 직전 조사 결과보다 0.9%포인트 상승한 38.1%로 집계됐다.
‘문화가 있는 날’ 참여율을 10대와 50대, 60대에서 다소 증가했다.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인 지역은 부산·울산·경남(43.5%), 가장 낮은 곳은 서울(33.1%)이었다.
군·읍·면 지역민의 참여율은 19.2%포인트 증가한 41.7%였다. 전체 참여 만족도는 직전 조사 결과보다 4.5%포인트 상승한 84.9%로 조사됐다.
가장 많이 참여한 프로그램은 영화(73%)였다. 공연을 관람한 비율도 22%에 달했다.
‘문화가 있는 날’에 참여하지 못하는 사유로는 ‘평일이라 시간 내기 어려워서’(57.4%)가 많았다. ‘제공 혜택에 대한 정보 부족’(15.8%), ‘인근 문화시설 부족’(12.1%)이 뒤따랐다.
건의사항으로는 ‘홍보 강화’가 22.5%로 가장 많았고 ‘할인 혜택 증가’(6.8%), ‘프로그램 다양화’(5.3%) 등을 꼽았다.
문체부 관계자는 “직전 조사 결과에서 미흡했던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인지도와 참여율이 낮은 지역을 집중적으로 홍보하고,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했다”며 “그 결과 직전 조사보다 세대별, 지역별 문화 격차가 다소 해소됐다고 볼 수 있으나 인지도 개선 성과보다는 참여율에서 아쉬운 점이 있다”고 전했다.
매달 마지막 수요일로 정해진 ‘문화가 있는 날’은 모든 국민이 쉽게 문화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관람료 무료·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야간개방과 문화프로그램 등을 확대해 시행하는 날이다. 2014년 1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융성위원회가 지난달 27일부터 5월11일까지 여론조사회사 월드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5세 이상 2500명을 대상으로 벌인 ‘문화가 있는 날’에 대한 2016년 제1차 인지도 조사를 한 결과, 42.4%가 ‘문화가 있는 날’을 잘 모른다고 답했다.
‘잘 안다’는 57.6%였다. 이는 지난해 8월 시행한 직전 조사 결과보다 12.4%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특히 50~60대 인지도가 직전 조사 결과보다 각각 25%포인트, 24.4%포인트 상승한 54.5%와 47.8%로 나타나 전반적인 인지도 상승을 견인했다. 인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61.4%), 가장 낮은 지역은 대구·경북(54.5%)으로 7.0%포인트의 격차를 보였다.
인지도가 가장 많이 개선된 지역은 부산·경남·울산과 광주·전라도로 직전 조사 결과보다 각각 18.9%포인트, 18.4%포인트 증가한 58.5%와 58.4%를 기록했다.
‘문화가 있는 날’을 아는 사람 중 ‘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율은 직전 조사 결과보다 0.9%포인트 상승한 38.1%로 집계됐다.
‘문화가 있는 날’ 참여율을 10대와 50대, 60대에서 다소 증가했다.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인 지역은 부산·울산·경남(43.5%), 가장 낮은 곳은 서울(33.1%)이었다.
군·읍·면 지역민의 참여율은 19.2%포인트 증가한 41.7%였다. 전체 참여 만족도는 직전 조사 결과보다 4.5%포인트 상승한 84.9%로 조사됐다.
가장 많이 참여한 프로그램은 영화(73%)였다. 공연을 관람한 비율도 22%에 달했다.
‘문화가 있는 날’에 참여하지 못하는 사유로는 ‘평일이라 시간 내기 어려워서’(57.4%)가 많았다. ‘제공 혜택에 대한 정보 부족’(15.8%), ‘인근 문화시설 부족’(12.1%)이 뒤따랐다.
건의사항으로는 ‘홍보 강화’가 22.5%로 가장 많았고 ‘할인 혜택 증가’(6.8%), ‘프로그램 다양화’(5.3%) 등을 꼽았다.
문체부 관계자는 “직전 조사 결과에서 미흡했던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인지도와 참여율이 낮은 지역을 집중적으로 홍보하고,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했다”며 “그 결과 직전 조사보다 세대별, 지역별 문화 격차가 다소 해소됐다고 볼 수 있으나 인지도 개선 성과보다는 참여율에서 아쉬운 점이 있다”고 전했다.
매달 마지막 수요일로 정해진 ‘문화가 있는 날’은 모든 국민이 쉽게 문화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관람료 무료·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야간개방과 문화프로그램 등을 확대해 시행하는 날이다. 2014년 1월부터 시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