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이 합쳐 300억

입력 : 2013.05.07 23:20

名器 '파가니니 콰르텟'으로 연주하는 도쿄 4중주단… 팀 해산 앞두고 마지막 내한

오는 23일 내한하는 도쿄 현악 4중주단은 연주할 때 들고 다니는 4개의 현악기만 300억원이 넘는다. 바이올린 2대(1680년·1727년산)와 비올라(1731년산)·첼로(1736년산) 하나씩으로 구성된 이 악기 세트는 전설적 이탈리아 현악기 제작자인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1644~1737)가 제작한 명기(名器). 스트라디바리가 만든 비올라는 현재 10여 대만 남아 있어 가치가 더욱 높다. '바이올린의 귀재' 파가니니(1782~1840)가 실내악 연주를 위해 이 세트를 구입한 뒤 '파가니니 콰르텟'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오는 7월 해산을 앞두고 마지막 내한 공연을 갖는 도쿄 현악 4중주단. 비올라 주자 외에는 수차례 멤버 교체를 겪었으며 이들이 쓰는 악기의 추정가는 300억원에 이른다.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제공
오는 7월 해산을 앞두고 마지막 내한 공연을 갖는 도쿄 현악 4중주단. 비올라 주자 외에는 수차례 멤버 교체를 겪었으며 이들이 쓰는 악기의 추정가는 300억원에 이른다.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제공
20세기 들며 예술 후원자나 문화재단은 이 악기를 사들인 뒤 유명 현악 4중주단에 빌려줬다. 1946년 미국 윌리엄 앤드루 클라크 여사는 이를 사들여 파가니니 4중주단에 20년간 빌려줬다. 클라크 여사는 이 악기들을 따로 판매하거나 대여하지 못하고 언제나 '세트'로 묶여야 한다고 유언했다. 1992년에는 클리블랜드 4중주단이 썼고, 1994년 일본문화재단이 1500만달러에 사들인 뒤에는 도쿄 4중주단에 장기 대여했다.

현재 이 악기들을 사용하는 도쿄 4중주단은 미 줄리아드 음악원에서 공부한 일본 출신의 현악 연주자들이 1969년 창단한 실내악단.

이들은 오는 7월 미국 연주회를 끝으로 해산한다. 도쿄 4중주단이 국내에서 들려주는 스트라디바리우스 소리는 이번이 마지막인 셈이다. 앙상블 해산 이후에 이 악기들은 일본문화재단으로 돌아가며, 재단 이사회에서 다른 사용자를 결정하게 된다. 23일 서울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에서열리는 연주회에서 이들은 하이든과 코다이, 베토벤의 현악 4중주를 들려준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