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3.01.02 23:46
설치작가 임충섭의 '월인천지'

하늘의 달만 달인가. 땅에도 달이 뜬다. 재미(在美) 설치작가 임충섭(72)은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1층 2전시실 바닥에 달이 차고 지는 모습이 담긴 45분짜리 영상을 투사(投射)했다. 가로 2m, 세로 1.5m 화면에 가득 찬 요요한 달빛. 그 위로 무명실에 매달린 자그마한 정자(亭子)가 그림자를 드리운다. 유영(游泳)하듯 달을 스치는 이 정자는 창덕궁 소요정(逍遙亭) 축소 모형이다. 작품 제목은 '월인천지(月印千地)'. 무명실 3000야드(2.7㎞)가 연결된 거대한 베틀 모양 설치물이 달 영상을 둘러싼다.
내달 24일까지 회고전 '임충섭:달, 그리고 월인천지'를 여는 작가는 "하늘에 뜬 달이 천 개의 강물에 비치면 강에 비친 천 개의 달 역시 달이 아닌가"라는 조선시대 월인천강(月印千江) 논쟁에서 이 작품을 착안했다.
"당시 퇴계 이황은 '강에 비친 달도 달'이라 했고, 고봉 기대승은 '하늘의 달만 달'이라 했죠. 저는 퇴계의 의견에 공감했고 '강물의 달'을 '땅의 달'로 변용했습니다."
미술관 바닥에 뜬 달을 보며 관객은 저마다 마음속에 품은 달을 돌아보게 된다. (02) 2188-6000
내달 24일까지 회고전 '임충섭:달, 그리고 월인천지'를 여는 작가는 "하늘에 뜬 달이 천 개의 강물에 비치면 강에 비친 천 개의 달 역시 달이 아닌가"라는 조선시대 월인천강(月印千江) 논쟁에서 이 작품을 착안했다.
"당시 퇴계 이황은 '강에 비친 달도 달'이라 했고, 고봉 기대승은 '하늘의 달만 달'이라 했죠. 저는 퇴계의 의견에 공감했고 '강물의 달'을 '땅의 달'로 변용했습니다."
미술관 바닥에 뜬 달을 보며 관객은 저마다 마음속에 품은 달을 돌아보게 된다. (02) 2188-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