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 송

입력 : 2024.07.23 17:31
●기간: 2024. 7. 4 ─ 8. 24●장소: 마시모데카를로 서울스튜디오(강남구 신사동 659-9)
전시 전경. /마시모데카를로 서을스튜디오
전시 전경. /마시모데카를로 서을스튜디오
 
마시모데카를로 서울 스튜디오는 중국 작가 루 송(Lu Song, b. 1982)의 작품을 선보인다. 이번 프레젠테이션에서는 루 송의 독특한 회화 기법을 대표하는 작품이 전시된다. 이번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루 송은 프랑스 후기 인상파 화가 폴 고갱(Paul Gauguin)에 대해 재해석한다.
 
소설 ‘달과 6펜스(The Moon and Sixpence),’ 영화 ‘파리의 고갱(The Wolf at the Door)’등의 작품을 통해 많은 이들에게 각인된 고갱은 신비로운 페르소나 덕분에 문학 및 예술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인물이 되었다. 대중적으로는 종종 자만하고 이기적이며 거만한 일차원적 인물로 축소돼 묘사되곤 했다. 루 송은 이러한 묘사에 매료되었다. 인간 본성에 복잡함이 내재되어 있다고 생각하기에, 작가는 간접적인 이야기와 묘사를 통해 생성된 고갱의 이미지가 근본적으로 불완전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그는 고갱을 새롭게 발견하려 시도하며, 그 결과물인 매혹적인 작품 시리즈를 서울 스튜디오에서 선보이게 됐다.
 
다면성을 지닌 고갱은 루 송의 창작 매개체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자신의 작품 속에서 대화를 시도하는 대상이기도 하다. 
‘파리의 고갱’에서 루 송은 고갱의 자화상에서 영감을 받아 그 스타일과 색상을 자신의 스타일과 결합시킨다. 시각적 불연속성을 바탕으로 공간적 및 시간적 위치의 어긋남을 더하여, 인상파 거장과의 대화를 콜라주 효과를 통해 완성한다. 루 송의 ‘오비리(Oviri)' 시리즈는 고갱이 타히티로 떠나기 전 만든 조각 작품 ‘Oviri’를 따라 명명됐다. 이 조각 작품은 고갱의 예술적 경력에서 중요한 시기와 중요한 스타일의 표현을 나타낸다. 조각의 불분명한 여성 형태와 얼굴 특징은 원초적인 특색을 발산, 고갱의 회화 스타일을 반영한다.
 
전시 전경. /마시모데카를로 서울스튜디오
전시 전경. /마시모데카를로 서울스튜디오
 
작품 속에서 전형적인 야만성 속에 섬세함이 병치돼 완벽한 균형을 이룬다. 비슷한 맥락에서 루 송의 작품에서 넓은 평면 색상과 기하학적 형태의 상호 작용은 처음에는 거칠고 제멋대로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사실은 깊은 사상과 감정이 담겨있다. 이번 서울 스튜디오 프레젠테이션은 관람객에게 루 송의 작품을 해독하고, 익숙한 것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며, 사람과 사물의 다면적인 본질을 재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