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행동을 시각 예술로 전환… 베데마이어 개인전

  • 김현 기자

입력 : 2025.11.26 17:43

독일 작가 클레멘스 폰 베데마이어 개인전 ‘소셜 지오메트리’
2026년 1월 9일까지 한남동 마이어리거울프

소셜 지오메트리, 2024. 비디오 설치 작품, 흑백, 3채널 사운드, 16:9 화면비, 19분. /마이어리거울프
소셜 지오메트리, 2024. 비디오 설치 작품, 흑백, 3채널 사운드, 16:9 화면비, 19분. /마이어리거울프
 
독일 작가 클레멘스 폰 베데마이어(Clemens von Wedemeyer)의 한국에서의 첫 개인전 ‘소셜 지오메트리’가 서울 마이어리거울프에서 2026년 1월 9일까지 열린다. 이번 전시는 세 편의 영상 작품 ‘소셜 지오메트리’(2024)와 ‘오큐페이션’(2002), ‘70,001’(2019)과 사운드 조각 작품 ‘무제(아폴로) Untitled (Apollo)’(2014–2025)를 선보인다. 이 작품들은 베데마이어가 오랜 시간에 걸쳐 탐구해 온 개인과 집단과의 관계, 추상적인 시스템과 실제적인 인간의 삶 사이의 역동성을 다룬다.
 
이번 전시는 베데마이어의 작품세계를 상징하는 핵심 작품이 엄선돼 내걸린다. 초기작 중 하나인 ‘오큐페이션’(2002)과 최근 작업인 ‘소셜 지오메트리’(2024)까지, 20여 년을 아우르는 이 작품은 베데마이어 작업 세계의 궤적을 아우르며, 작가의 주된 관심사인 집단 역학과 미디어 표상의 상호작용을 보여준다.
 
무제(아폴로), 2014–2025. 석고, 아크릴 유리, 트랜스듀서, 모노앰프, 미디어 플레이어, 케이블, 사운드, 34 × 28 × 25 cm, 4분 20초. /마이어리거울프
 
‘소셜 지오메트리’는 집단 행동의 시각적 재현이라는 작가의 오랜 관심사가 확장된 작업이다. 과거의 연작 ‘군중의 환상’(2019-2021)에서 시작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 이 작품은, 인간이 살면서 만들어가는 다양한 관계를 시각적인 모델과 도식을 통해 표현했다. 작품 속에서 각각의 개인은 하나의 점으로, 이들이 맺는 무수한 관계들은 선으로 그려졌다. 이러한 베데마이어의 미학은 시간을 초월해 현재의 디지털 시대적 관계 표현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소셜 지오메트리 전시 전경. /마이어리거울프
 
‘오큐페이션’은 야간 촬영 중 수많은 엑스트라가 반란을 일으켜 자신들의 공간을 주장하고 점유한 주체적 행동을 보여준다. ‘70,001’은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의 계기가 된 라이프치히 월요 시위를 수만 명의 디지털 요인들로 재현한 시뮬레이션이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세 점의 영상 작품은 작가가 20여 년에 걸쳐 천착하고 있는 집단 역학에 대한 성찰을 보여주고, 인간이라는 존재가 집단행동과 목소리를 통해 조직화한 재현 체계에 어떻게 도전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소셜 지오메트리 전시 전경. /마이어리거울프
 
베데마이어는 모든 관계가 점과 선 사이의 연결고리로 환원되는 ‘기술적 이미지’로 포화된 세계 속에서, 도식이 전개되는 순간 촘촘하게 짜인 통제 사회에서 벗어날 가능성을 우리에게 제안한다. 베데마이어는 베를린에서 거주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소셜 지오메트리 전시 전경. /마이어리거울프
 
작가는 현실과 허구의 경계에 있는 영화와 미디어 설치 작품들을 통해 사회적 관계와 역사, 건축 속에 숨은 권력 구조를 드러낸다. 작업 과정에 있어서는 세트의 연출이나 배우의 캐스팅과 같이 영화 제작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숨겨지는 요소들을 각본과 즉흥 연기와 함께 최종 편집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드라마와 다큐멘터리를 오가며 작품에 다층적인 모호성을 쌓아 올리고, 이를 통해 관객으로 하여금 연극과 영화의 관습을 의문시하도록 촉구한다.
 
베데마이어는 최근 리히텐슈타인 현대미술관(Kunstmuseum Liechtenstein, 2023), 알베르티눔(Albertinum, 2023)에서의 개인전을 진행했고, 뉴욕의 모마 PS1(MoMA PS1), 런던의 바비칸 센터(Barbican Centre), 프랑크푸르트 쿤스트페어라인(Frankfurter Kunstverein), 함부르크 쿤스트할레 (Hamburger Kunsthalle), 시카고 현대미술관(Museum of Contemporary Art Chicago) 등 다양한 기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한 바 있다. 그의 영화 ‹ESIOD 2015›는 제66회 베를린 국제영화제(2016)에서 초연되었으며,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Skulptur Projekte Münster, 2007), 도큐멘타 13(Documenta (13), 2012), 베를린 비엔날레, 시드니 비엔날레 등 주요 국제 기획전에 참여했다.
 
  • 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