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1.07.20 16:20
맹나현·전민지·정해선 3인 공동 기획
무진형제·전하영·최하늘·후니다킴 작가 4인 신작 선봬

마땅히 있어야 할 것이 없거나 모자란 상태, 즉 결여된 상태를 돌이켜보는 것으로부터 시작된 전시가 있다. 두산갤러리는 신진기획자 양성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두산 큐레이터 워크샵 기획전 ‘un-less’를 8월 18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두산 큐레이터 워크샵의 10회 참가자 맹나현, 전민지, 정해선의 공동 기획으로 마련됐다.

인간은 오래전부터 예기치 못한 재난에 봉착할 때마다 기존의 세계로 돌아갈 수 없는 현실을 마주해 왔다. 전례 없는 전염병으로 재난과의 거리가 그 어느 때보다 좁혀진 지금, 우리는 이전과 달리 무언가 결여되거나 결핍된 상황을 목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역사의 변곡점에서 기획자 3인은 ‘인류에게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결여와 결핍의 경험이 없었다면, 새로운 관점이 등장할 수 없었을 것’이라 전제, 질문을 던진다. 무진형제, 전하영, 최하늘, 후니다킴 등 작가 4인(팀)의 각기 다른 매체를 통해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대안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여된 상황 그 자체를 직시하고 이에 대한 고정관념을 뛰어넘어 공백 상태로 남아 있는 그 ‘이후’의 세계를 상상해보기 위함이다.

참여 작가 4인(팀)은 이번 전시를 위해 신작 4점을 선보인다. 무진형제는 팬데믹이라는 세계사적 전환기를 맞이한 지금, 재난에 처한 동시대 인간에 대해 고찰을 담은 <그라운드 제로>(2021)를 내걸었다. 재난 상황에서 나타난 환경의 변화를 통해 인류가 잃어버린 것, 더 나아가 인류에게 결핍되어 있는 것에 대해 질문한다. 문장들이 조각난 채로 전시장을 배회하고 있는 전하영의 <M으로의 내적 여행>(2021)은 작가의 단편 소설의 일부로서, 23년 동안 잠들어있던 주인공이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하고 미술관 안과 밖을 떠도는 이야기를 다룬다.

최하늘은 작가들이 창작 과정에서 경험하는 특정한 제약과 결여 조건을 조각 작품 <우리 가족>(2021)으로 가시화한다. 그는 조각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인 물질과 대지를 의도적으로 거부하고, 치밀한 드로잉 과정을 과감히 생략했다. 또한, 후니다킴은 작가의 현재 위치와 전시 공간과의 거리를 실시간 GPS로 측정하는 작업 <ATTUNE>(2021)을 발표한다. 작가와 작품 사이의 거리에 따라 소리의 변화를 유발함으로써 미완과 결여의 개념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한편, 두산 큐레이터 워크샵은 한국 현대미술계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신진 큐레이터를 발굴,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매년 3명의 큐레이터를 선정해 1년간 각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 강의∙세미나∙워크샵 등을 통해 현대미술의 이론과 현장을 깊이 있게 다룬다. 교육기간 이후, 두산갤러리에서 3명이 공동으로 전시를 기획해봄으로써 1년간의 연구를 구체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큐레이팅 기회를 갖게 한다.
- 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