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0.04.24 16:45 | 수정 : 2020.05.11 11:40
아트조선기획
2020. 6. 4 (목) ~ 6. 20 (토)

■ 전시개요
- 전 시 명 : 2020 Art Chosun on Stage Ⅱ 권녕호 < 아뜰리에의 계절 : Les saisons de l’atelier >展
- 장 소 : 청담동 루카511 ABAS아뜰리에 3F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81길 40)
- 기 간 : 2020. 6. 4 (목) ~ 6. 20 (토)
- 관람시간 : 월~일 10:00 ~ 17:00 (휴관일 없음)
- 관 람 료 : 무료
- 오 프 닝 : 2020. 6. 4(목) 16:00 ~
- 주 최 : 아트조선
- 예약문의 : 02-724-7832
* 안전한 관람을 위해 전시 예약제를 시행합니다.




■ 전시소개
아트조선 기획 2020 Art Chosun on Stage II 권녕호의 < 아뜰리에의 계절 : Les saisons de l’atelier>전을 개최한다.
2020년 6월 4일 부터 20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는 특별히 작가의 삶의 공간이자 창작의 공간인 아뜰리에를 전시공간으로 옮겼다. 이미 화단에 그의 이름을 알린 군상과 민화를 새로운 조형언어로 시도하는 추상 작업들로 신작 12점을 비롯한 총 25점을 볼 수 있다.
작가는 상징적 기호, 무의식적인 선들과 여백을 결합하는 독창적인 양식을 사용함으로써 색다른 시각적, 예술적 경험을 ‘계절’로 선사한다.
여기서 권녕호는 어떠한 형태의 의미부여나 정의를 거부한다. 보는 이의 해석에 따라 여러 계절의 선과 형을 추구한 그의 작업은 단순화된 삶의 흔적과 강렬한 즉흥성이 공존하며 자신만의 조형의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자유로움을 보여준다.
여기서 권녕호는 어떠한 형태의 의미부여나 정의를 거부한다. 보는 이의 해석에 따라 여러 계절의 선과 형을 추구한 그의 작업은 단순화된 삶의 흔적과 강렬한 즉흥성이 공존하며 자신만의 조형의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자유로움을 보여준다.
오랜 시간 프랑스에서 작업한 그는 정체성에 대한 고민의 답을 찾고자 한국의 정서적 경험을 삶의 생명력으로 재해석하였다. 특히 1월부터 12월까지 일 년 열두 달,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 자연의 미를 관찰한 이번 신작들은 한지에 연필, 먹 등을 사용하며 전통적인 동양화의 바탕에 현대적 추상 기법을 풀어낸다.
시간으로부터 나타나는 흔적과 색채감이 춤추며 마치 비발디의 <사계> 연주가 눈앞에 펼쳐지는 작품들을 이번 전시에서 볼 수 있다.
시간으로부터 나타나는 흔적과 색채감이 춤추며 마치 비발디의 <사계> 연주가 눈앞에 펼쳐지는 작품들을 이번 전시에서 볼 수 있다.





■ 작가소개
권녕호는 1955년 서울태생이다. 가난한 어린 시절의 소년 권녕호는 그림을 그리고 싶어 미군 부대의 천막을 캔버스 삼아 그림을 그리던 것을 계기로 작가로서의 운명적인 길을 걷게 되었다. 1981년 스물다섯의 나이에 한국일보 백상미술관에서 열린 개인전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전업작가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인간 군상을 테마로 한 구상스타일로 1993년 국립현대미술관 한국미술대상전에서 구상부문 올해의 작가상 수상을 비롯해, 여러 공모전에서 각종 수상을 하면서 떠오르는 작가로 화단에 관심을 모았다. 하지만 그는 한국에서의 삶에 만족하지 않았고, 세계적 화가들의 작품과 세계를 보기 위해 무작정 유럽 여행을 떠난 중 파리에서 유학할 것을 결심했다. 그 후 프랑스 파리국립미술학교(École des Beaux-Arts de Paris)에 입학하여, 벨기에의 국민화가인 피에르 알레신스키(Pierre Alechinsky)에게 지도를 받게 되었다.
유학생활 중 그는 내면 속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었던 동양적 미의식에 대한 탐구와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면서 고뇌 끝에 발견한 것이 바로 전통에 대한 깨달음이었다. 표현이 무기인 미술의 근원에서 권녕호는 전통에 눈을 떴고, 그 전통은 무작정 옛 것을 베끼고 차용하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변용되고 재해석 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그 후 서양의 독특한 물성과 동양의 여백이 어우러진 개성 있는 작품들을 선보이며 한국의 전통적 정서를 서구적 표현양식을 빌어 재구성하는 내용으로 한국 미술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작가로 한국과 프랑스에서 입지를 다지게 되었다.

■ 작품과정 및 특징
90년대 그의 초기 작품은 인간에 대한 근원적인 관심에서 출발, 주로 사람들의 군상을 테마로 한 구상스타일이다. 그 시기 작업들은 표현이나 테크닉, 구성력이 돋보였고, 민화에 대한 이미지와 콘셉트의 인용을 시도했다. 작가는 파리에 머물면서 서양의 문화에 침몰되지 않는 우리의 전통적인 정서를 모던한 감각으로 풀어내는데 집중했는데 파리에서의 작품들은 화폭에서 베어나는 한국 전통의 변용된 언어와 정감 있는 색채들, 그리고 동양회화의 여백의 미(美)까지 더하여 그의 대표작이라 불릴 만한 작업들을 쏟아냈다. 재료적인 측면에서는 캔버스 대신 한지를 직접 배접하는 방식으로 작품을 완성하였고, 그린 듯 지운 듯 한 독특한 표현 양식과 그만의 동그라미 패턴에서는 동양의 정서가 깃든 절제와 단순미 그리고 유쾌함을 엿볼 수 있다.



■작가약력
권녕호 權 寧 鎬 (b.1955)
KWON NYOUNG HO
1981-1997 Paris
1981-1985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de Paris Atelier de Pierre Alechinsky
파리국립미술학교 졸업
파리 청년작가회 초대 회장역임
구상전 부회장, 프랑스 예술가 협회 회원
Paris American Academy 미술학교 교수 역임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역임, 예술의전당 지도교수 역임
개인전
2013 한벽원 미술관
2012 갤러리 다미안 초대전한가람 미술관, G7
2010 예술의 전당 미술관 초대전
2006 닥터박갤러리 초대전유아트 스페이스 초대전
2005 공근혜갤러리 초대전
2004 유아트 스페이스
1998 갤러리 현대, 예술의 전당 화랑미술제 갤러리 예맥 초대전
1997 Centre Culturel Georges-Pompidou (Saint-Flour, France)
1996 Point Rouge Gallery 초대전
1995 갤러리 신현대 초대전
1993 갤러리 나인
1987 서울미술관
1983 Centre Culturel Coréen, Paris
1981 백상기념관
2013 한벽원 미술관
2012 갤러리 다미안 초대전한가람 미술관, G7
2010 예술의 전당 미술관 초대전
2006 닥터박갤러리 초대전유아트 스페이스 초대전
2005 공근혜갤러리 초대전
2004 유아트 스페이스
1998 갤러리 현대, 예술의 전당 화랑미술제 갤러리 예맥 초대전
1997 Centre Culturel Georges-Pompidou (Saint-Flour, France)
1996 Point Rouge Gallery 초대전
1995 갤러리 신현대 초대전
1993 갤러리 나인
1987 서울미술관
1983 Centre Culturel Coréen, Paris
1981 백상기념관
그룹전
2018 Support for Total Museum (토탈미술관, 서울)
2016 Sky A&C, Atelier Story 전 (한가람미술관, 서울)
2004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코엑스, 서울)
2003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코엑스, 서울)청담미술제(유아트스페이스, 서울)
2002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Bexco, 부산)차이와 공존 개관전(Noam갤러리, 서울)
MANIF(예술의 전당, 서울)
1997 Centre Culturel Georges-Pompidou (Saint-Flour, France)
1996 오늘의 한국미술 평면전 (성곡미술관, 서울) / 구상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1995 Roland Garros (Paris, France)
Art évènement, Conseil Général du Puy-de-Dôme (Clermont-Ferrant, France)
1993 Salon de Montrouge (Mairie de Montrouge, France)
1992 파리작가 5인전 (묵화랑, 서울)
1989 Biennale 89, (Paris Grand-Palais, France)
1986 오늘의 한국현대미술 (Villefranche De Conflent, France)
1984 파리청년작가 창립전 (Centre culturel Coréen à Paris, France)
1983 Grands et Jeunes d’aujourd’hui (Paris Grand Palais, France)
1982 Salon d’Automne (Paris Grand Palais, France)
Art Monte Carlo (Monaco)
Maison De Thiery (Belgium)
1981 재불 작가전 (Centre culturel Coréen à Paris, France)
2018 Support for Total Museum (토탈미술관, 서울)
2016 Sky A&C, Atelier Story 전 (한가람미술관, 서울)
2004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코엑스, 서울)
2003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코엑스, 서울)청담미술제(유아트스페이스, 서울)
2002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Bexco, 부산)차이와 공존 개관전(Noam갤러리, 서울)
MANIF(예술의 전당, 서울)
1997 Centre Culturel Georges-Pompidou (Saint-Flour, France)
1996 오늘의 한국미술 평면전 (성곡미술관, 서울) / 구상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1995 Roland Garros (Paris, France)
Art évènement, Conseil Général du Puy-de-Dôme (Clermont-Ferrant, France)
1993 Salon de Montrouge (Mairie de Montrouge, France)
1992 파리작가 5인전 (묵화랑, 서울)
1989 Biennale 89, (Paris Grand-Palais, France)
1986 오늘의 한국현대미술 (Villefranche De Conflent, France)
1984 파리청년작가 창립전 (Centre culturel Coréen à Paris, France)
1983 Grands et Jeunes d’aujourd’hui (Paris Grand Palais, France)
1982 Salon d’Automne (Paris Grand Palais, France)
Art Monte Carlo (Monaco)
Maison De Thiery (Belgium)
1981 재불 작가전 (Centre culturel Coréen à Paris, France)
수상
1993 구상전 올해의 작가상 수상
1979 국전 및 한국 미술대상전(국립현대미술관)
1974-1978 구상전 동상 및 특선 2회(국립현대미술관)
1993 구상전 올해의 작가상 수상
1979 국전 및 한국 미술대상전(국립현대미술관)
1974-1978 구상전 동상 및 특선 2회(국립현대미술관)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호암미술관
성곡미술관
한솔미술관
예술의전당 음악당
이스트밸리cc
인터콘티넨탈호텔 (코엑스)
한화그룹
세종문화회관
백병원
Conseil départemental du Puy-de-Dôme (France)
Centre Culturel Georges-Pompidou (Saint-Flour, France)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호암미술관
성곡미술관
한솔미술관
예술의전당 음악당
이스트밸리cc
인터콘티넨탈호텔 (코엑스)
한화그룹
세종문화회관
백병원
Conseil départemental du Puy-de-Dôme (France)
Centre Culturel Georges-Pompidou (Saint-Flour, France)
■ 영상자료
Art Chosun_권녕호 인터뷰
TV CHOSUN 이웃집화가2 출연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