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04.12 01:44
'바람 불어 별이 흔들릴 때' 주역, 예술의전당 무대에 서는 최불암
"드라마는 삶을 그린 칠판 같은 것… 요즘은 어른다운 어른 되는 길 고민"
최불암(78)이 25년 만에 연극 무대에 선다. 18일부터 서울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공연되는 연극 '바람 불어 별이 흔들릴 때'의 주역이다. '조씨고아'(2015) '해무'(2011)의 안경모 연출 작품. 최근 예술의전당 연습실에서 만난 최불암은 "촬영 끝나면 다 잊어버리는 드라마만 하다 연극 하려니 두 배로 힘든 것 같다"며 웃었다. "고단해요. 목이 다 쉬고. 그래도 연기는 변함없이 해 왔으니까…." 엄살과 달리 그가 대사를 읊으면 연습실이 쩌렁쩌렁 울린다.
그는 '누군가 부르는 소리를 듣고 저 먼 별에서 왔다'는 행색 허름한 노인이 돼 각자 아픔을 품고 바쁘게 사는 서울 젊은이들을 만난다. 시(詩) 같기도 동화 같기도 한 이야기에 세상, 사람, 시간에 대한 성찰이 담겼다. '어린 왕자'가 서울에 노인으로 온 것 같은 연극이다. 최불암은 "이 작품의 별이라는 건 어떤 희망, 목적, 가치 같은 것 아니겠느냐"고 했다. "결국 아름다움을 찾으러 온 거예요. 편안한 것, 코끝으로 다가오는 향기, 눈으로 보이는 무언가 같은 것들. 미(美)는 예술을 통해 나오는 것이고, 나는 그걸 찾고 보이기 위해 평생 연기를 한 걸 테니 딱 맞춤한 작품이지."
그는 '누군가 부르는 소리를 듣고 저 먼 별에서 왔다'는 행색 허름한 노인이 돼 각자 아픔을 품고 바쁘게 사는 서울 젊은이들을 만난다. 시(詩) 같기도 동화 같기도 한 이야기에 세상, 사람, 시간에 대한 성찰이 담겼다. '어린 왕자'가 서울에 노인으로 온 것 같은 연극이다. 최불암은 "이 작품의 별이라는 건 어떤 희망, 목적, 가치 같은 것 아니겠느냐"고 했다. "결국 아름다움을 찾으러 온 거예요. 편안한 것, 코끝으로 다가오는 향기, 눈으로 보이는 무언가 같은 것들. 미(美)는 예술을 통해 나오는 것이고, 나는 그걸 찾고 보이기 위해 평생 연기를 한 걸 테니 딱 맞춤한 작품이지."

최불암은 "드라마는 삶을 그린 칠판 같아야 하는데, 요즘 드라마는 해선 안 될 사랑, 부모 자식의 억지 다툼 같은 갈등을 그려낸다"고 염려했다. "그게 진짜 요즘 삶이에요? 드라마 '전원일기'가 장수한 건 아버지가 아버지답고, 아들이 아들다워서였어요. 평화로웠거든. 요즘도 시골 노인들은 '이제 당신 나오는 드라마 안 하오?' 하고 물어요." '전원일기'는 그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후원회 일을 맡게 된 계기이기도 했다. 극 중 최불암이 버려진 아이 금동이를 입양한 내용 뒤 전국에서 칭찬이 쏟아졌던 것. 극 중 인물과 배우 개인을 잘 구분 못하던 시절이었다. "방송국 편지 배낭이 온통 내 칭찬이에요. 당직자가 '당신 칭찬 전화 받느라 한숨도 못 잤다'고 불평을 해요. 우리 국민이 그렇게 착한 국민이에요." 최불암은 그때부터 이 착한 심성의 국민에게 어떻게 보답할까 고민했다. '그냥 가짜로만 있어선 안 되겠다' 싶어 맡은 어린이재단 후원회장이 올해 36년째다.
그가 최근 촬영차 간 전북 무주에서 본 '학교 가는 길' 이야기를 꺼냈다. "아이들 학교 다니라고 주민들이 합심해 곡괭이로 산을 파고 바위를 쪼아 길을 냈어. 그게 참 가슴에 멍이 들도록 아프더라고. 예전엔 어른들이 저렇게 아이들 길을 내줬는데…. 그런 길이 충청도에도 경상도에도, 전국에 있어요." 최불암은 "다음 세대가 어떤 세상을 만나 살 것인가 걱정해야 한다. 그 길을 닦고 내주는 것이 어른 역할 아니냐"고 했다.
그가 최근 촬영차 간 전북 무주에서 본 '학교 가는 길' 이야기를 꺼냈다. "아이들 학교 다니라고 주민들이 합심해 곡괭이로 산을 파고 바위를 쪼아 길을 냈어. 그게 참 가슴에 멍이 들도록 아프더라고. 예전엔 어른들이 저렇게 아이들 길을 내줬는데…. 그런 길이 충청도에도 경상도에도, 전국에 있어요." 최불암은 "다음 세대가 어떤 세상을 만나 살 것인가 걱정해야 한다. 그 길을 닦고 내주는 것이 어른 역할 아니냐"고 했다.

이번 연극 개막은 4·19 기념일 하루 전인 18일. 그는 "4월이면 몸도 마음도 몸살이 난다"고도 했다. 1960년 4·19 직전인 3월 12일 서울대 정일성, 고려대 독고중훈, 중앙대 박근형 등 대학 연극부 동료들과 밤새워 부정선거 규탄 전단을 만들고, 체포를 피해 지방으로 도망 다녔던 기억 때문이다. "배우가 광대잖아요. 난 '廣大'로 읽어요. 넓을 광에 큰 대. 지금으로 말하면 매스미디어지. 좋은 연극은 많은 사람을 깨닫게 하는 것이고, 연극하는 청년들이 그런 의무감을 느꼈던 거예요."
요즘 최불암은 1주일에 2~3일은 TV프로그램 '한국인의 밥상' 촬영을 위해 지방을 다니고, 나머지는 연극 연습을 한다. 집에선 "빨래 널고 냄비 닦는 게 즐겁다"고도 했다. "아내(배우 김민자)가 손목이 아프대요. 평생 집안일을 했으니 안 아플 리가 있나. 그래서 요즘은 빨래도 널어주고, 냄비도 닦아요. 아 참, 연극 연습 때문에 술도 많이 줄였어. 어제도 소주 한 병 반밖에 안 먹었다니까!" 팔순을 앞두고도 그는 여전히 현역 배우였다.
요즘 최불암은 1주일에 2~3일은 TV프로그램 '한국인의 밥상' 촬영을 위해 지방을 다니고, 나머지는 연극 연습을 한다. 집에선 "빨래 널고 냄비 닦는 게 즐겁다"고도 했다. "아내(배우 김민자)가 손목이 아프대요. 평생 집안일을 했으니 안 아플 리가 있나. 그래서 요즘은 빨래도 널어주고, 냄비도 닦아요. 아 참, 연극 연습 때문에 술도 많이 줄였어. 어제도 소주 한 병 반밖에 안 먹었다니까!" 팔순을 앞두고도 그는 여전히 현역 배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