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01.31 03:02
'킹키부츠' 찰리役 이석훈
"뮤지컬은 종합예술의 결정체… 주인공 캐릭터 나와 많이 닮아"
연예인들은 늘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려 노력한다. 이미지 변신을 해야 인기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일종의 강박이다. 아이돌 그룹 SG워너비 멤버인 이석훈(34)은 정반대의 길을 가는 것 같다. '교회 오빠' 이미지를 고수한다.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에서 지원자들의 멘토를 맡아 다정한 인상을 더했다.

31일 블루스퀘어 인터파크홀에서 개막하는 뮤지컬 '킹키부츠'에서 이석훈은 모범생 찰리 역할에 도전한다. 미국 오리지널판 연출가에게서 "누가 봐도 찰리"라는 칭찬을 끌어냈다. 뮤지컬 도전은 처음인 그에게 찰리 역은 잘 재단된 슈트 같다.
"저랑 모범생과는 거리가 멀어요." 최근 연습실이 있는 충무아트센터에서 만난 이석훈은 머쓱해했다. "어린 시절엔 굉장한 말썽쟁이였어요. 공부도 안 했고… 유혹에도 많이 흔들리는 사람이에요. 교회는 다니고 있지만 벼랑 끝에 있는 저를 발견한 게 한두 번이 아니었거든요." 고해성사하듯이 말했다. "다른 강한 역할에도 도전해 보고 싶어요. 하지만 제가 아직 그럴 깜냥이 안 돼요. 뮤지컬이 종합예술의 결정체라고 늘 생각해 왔기에 꼭 도전해 보고 싶었어요."
팝스타 신디 로퍼가 작사·작곡한 뮤지컬 '킹키부츠'는 2013년 미국 브로드웨이에서 초연됐다. 그해 미국 토니상과 영국 로런스 올리비에 어워즈 등 주요 공연예술 시상식에서 최우수 뮤지컬상을 휩쓸었다. 한국 제작사 CJ E&M이 처음부터 공동 프로듀서로 제작에 참여, 2014년 한국에서 세계 최초로 라이선스 공연을 선보였다. 국내 공연 평균 객석 점유율 85%, 누적 관객 수 20만명을 기록했다. 2016년 재공연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 시즌. 오는 2월 2일 200회 공연 기념행사가 무대에서 열린다.
'킹키부츠' 주인공 찰리는 아버지로부터 파산 직전 구두 회사를 물려받는다. 강제로 물려주려는 아버지에게 반항도 해 보지만 결국은 운명으로 받아들인다. 남성다움을 강요하는 아버지 밑에서 단단한 내면을 키워나간다. 이석훈은 "주인공 속내에 숨어 있는 겁 많은 모습을 읽어냈다"고 말했다. 자신과 많이 닮았고, 그걸 감추려고 연습하다가 억지웃음을 짓기도 했다. 암으로 돌아가신 어머니를 보면서 자신의 삶이 꽤 어두워졌다고 했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살다 보니 모든 게 제가 예상한 대로 흘러가지는 않더라고요. 그런데 이렇게 좋은 작품 주인공을 맡게 된 걸 보니 역시 저는 운이 좋은 것 같아요."
뮤지컬은 집요하게 '나'를 찾아간다. 이석훈에게 이번 작품은 자신에게 던지는 질문이자 숙제다. "저를 일으켜준 건 결국 노래였어요. 노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제가 존재한다고 생각해요. 아직도 저는 저를 찾아가는 중인 것 같아요."
"저랑 모범생과는 거리가 멀어요." 최근 연습실이 있는 충무아트센터에서 만난 이석훈은 머쓱해했다. "어린 시절엔 굉장한 말썽쟁이였어요. 공부도 안 했고… 유혹에도 많이 흔들리는 사람이에요. 교회는 다니고 있지만 벼랑 끝에 있는 저를 발견한 게 한두 번이 아니었거든요." 고해성사하듯이 말했다. "다른 강한 역할에도 도전해 보고 싶어요. 하지만 제가 아직 그럴 깜냥이 안 돼요. 뮤지컬이 종합예술의 결정체라고 늘 생각해 왔기에 꼭 도전해 보고 싶었어요."
팝스타 신디 로퍼가 작사·작곡한 뮤지컬 '킹키부츠'는 2013년 미국 브로드웨이에서 초연됐다. 그해 미국 토니상과 영국 로런스 올리비에 어워즈 등 주요 공연예술 시상식에서 최우수 뮤지컬상을 휩쓸었다. 한국 제작사 CJ E&M이 처음부터 공동 프로듀서로 제작에 참여, 2014년 한국에서 세계 최초로 라이선스 공연을 선보였다. 국내 공연 평균 객석 점유율 85%, 누적 관객 수 20만명을 기록했다. 2016년 재공연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 시즌. 오는 2월 2일 200회 공연 기념행사가 무대에서 열린다.
'킹키부츠' 주인공 찰리는 아버지로부터 파산 직전 구두 회사를 물려받는다. 강제로 물려주려는 아버지에게 반항도 해 보지만 결국은 운명으로 받아들인다. 남성다움을 강요하는 아버지 밑에서 단단한 내면을 키워나간다. 이석훈은 "주인공 속내에 숨어 있는 겁 많은 모습을 읽어냈다"고 말했다. 자신과 많이 닮았고, 그걸 감추려고 연습하다가 억지웃음을 짓기도 했다. 암으로 돌아가신 어머니를 보면서 자신의 삶이 꽤 어두워졌다고 했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살다 보니 모든 게 제가 예상한 대로 흘러가지는 않더라고요. 그런데 이렇게 좋은 작품 주인공을 맡게 된 걸 보니 역시 저는 운이 좋은 것 같아요."
뮤지컬은 집요하게 '나'를 찾아간다. 이석훈에게 이번 작품은 자신에게 던지는 질문이자 숙제다. "저를 일으켜준 건 결국 노래였어요. 노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제가 존재한다고 생각해요. 아직도 저는 저를 찾아가는 중인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