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7.06.14 09:40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로 충격이 컸던 연극계가 13일 감사원의 문화체육관광부에 대한 기관운영감사 발표에 상실감을 느끼고 있다.
특히 공연 지원 사업에 참여한 심사위원 중에 친정부 성향의 심사위원이 지원 배제 작업에 참여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연극평론가인 김미도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13일 "연극계의 우리 동료인 심의위원이 정부의 언질을 받고 심의에 참여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고 말했다.
역시 정부의 연극 지원 사업 심사위원에 참여했다 블랙리스트의 존재를 느끼고 관련 의혹을 폭로하는데 도운 김 평론가는 "각본을 짜서 부당한 이유로 배제됐다는 것이 다시 확인됐다"고 전했다.
연극계 중견 연출가는 "심사위원 중 누군가 정부의 언질을 받았다는 소문이 무성했는데 실제로 이렇게 밝혀지니 경악스럽다"고 안타까워했다.블랙리스트 작업에 참여한 인사들의 목록을 정리 중인 검열백서위원회의 위원장이기도 한 김미도 평론가는 "동료들이 동료들을 색출하는 작업만큼은 하고 싶지 않다"며 "당사자들이 양심 고백을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날 감사 발표에 따르면 문체부는 2015년 9월께 문예위의'공연예술발표공간 지원사업'에 신청한 96개 단체 중 22개 단체를 배제하라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무처에 통보했다.
문예위는 지시를 이행하기 위해 같은해 10월 친정부 성향의 심의위원에게 지원배제 명단을 알려주며 '사업계획서 부실' 등을 문제 삼을 것을 요구했고, 결국 22개 단체는 지원에서 배제된 바 있다.
감사원은 이와 함께 문예위뿐만 아니라 전국 공연장을 지원하는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한문연), 가난한 예술인들을 돕는 예술인 복지재단 심사위원 등에도 블랙리스트가 적용됐다고 밝혔다.
이들 기관을 지켜봐왔다는 공연관계자는 "열악한 예술인들의 환경을 더 나아지게 만드는데 신경을 쓰기는커녕 정치적인 잣대만 들이댄 사실이 놀랍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와 함께 문체부 산하 4개 기관장에게 주의를 촉구한 것에 대해 "솜방망이 처벌"이라며 법적 처벌을 원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공연 지원 사업에 참여한 심사위원 중에 친정부 성향의 심사위원이 지원 배제 작업에 참여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연극평론가인 김미도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13일 "연극계의 우리 동료인 심의위원이 정부의 언질을 받고 심의에 참여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고 말했다.
역시 정부의 연극 지원 사업 심사위원에 참여했다 블랙리스트의 존재를 느끼고 관련 의혹을 폭로하는데 도운 김 평론가는 "각본을 짜서 부당한 이유로 배제됐다는 것이 다시 확인됐다"고 전했다.
연극계 중견 연출가는 "심사위원 중 누군가 정부의 언질을 받았다는 소문이 무성했는데 실제로 이렇게 밝혀지니 경악스럽다"고 안타까워했다.블랙리스트 작업에 참여한 인사들의 목록을 정리 중인 검열백서위원회의 위원장이기도 한 김미도 평론가는 "동료들이 동료들을 색출하는 작업만큼은 하고 싶지 않다"며 "당사자들이 양심 고백을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날 감사 발표에 따르면 문체부는 2015년 9월께 문예위의'공연예술발표공간 지원사업'에 신청한 96개 단체 중 22개 단체를 배제하라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무처에 통보했다.
문예위는 지시를 이행하기 위해 같은해 10월 친정부 성향의 심의위원에게 지원배제 명단을 알려주며 '사업계획서 부실' 등을 문제 삼을 것을 요구했고, 결국 22개 단체는 지원에서 배제된 바 있다.
감사원은 이와 함께 문예위뿐만 아니라 전국 공연장을 지원하는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한문연), 가난한 예술인들을 돕는 예술인 복지재단 심사위원 등에도 블랙리스트가 적용됐다고 밝혔다.
이들 기관을 지켜봐왔다는 공연관계자는 "열악한 예술인들의 환경을 더 나아지게 만드는데 신경을 쓰기는커녕 정치적인 잣대만 들이댄 사실이 놀랍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와 함께 문체부 산하 4개 기관장에게 주의를 촉구한 것에 대해 "솜방망이 처벌"이라며 법적 처벌을 원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 Copyrights ⓒ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