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7.02.24 03:06
"부당한 간섭을 막지 못했다… 심사위원 선정 투명하게 할 것"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박명진)가 현 정부의 이른바 '문화계 블랙리스트'를 집행한 것에 대해 처음으로 사과했다. 문화예술위는 23일 홈페이지에 '위원장 및 임직원 일동' 명의로 사과문을 올리고 "금번 문예진흥기금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한 지원 배제 사태로 상처받으신 예술가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고 밝혔다.
문화예술위는 사과문에서 "국민과 예술가를 위한 기관으로서 부당한 간섭을 막아냈어야 하나 그러지 못했다"며 "독립성을 확보하지 못한 기관으로서 힘이 없었고 용기가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이어 특검 수사와 감사원 감사 등 일련의 조사 때문에 사과가 늦어졌으며, 책임져야 할 일에 대해 마땅히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또 재발 방지책으로 ▲심사위원 선정 방식을 투명하게 개선해 올해 사업 심의에 적용했고 ▲불만 사항을 신고받기 위해 옴부즈만제도를 신설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문화예술위의 지원 사업은 여전히 문화예술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날 한국문인협회(이사장 문효치)는 지난 8일 발표한 문화예술위의 올해 문화예술진흥기금 정시 공모 사업에서 문인협회에 대한 지원금이 크게 삭감됐다며 이의를 제기했다. 문인협회는 "심의위원회 구성이 잘못됐고 선정 원칙에도 일관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문화예술위는 사과문에서 "국민과 예술가를 위한 기관으로서 부당한 간섭을 막아냈어야 하나 그러지 못했다"며 "독립성을 확보하지 못한 기관으로서 힘이 없었고 용기가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이어 특검 수사와 감사원 감사 등 일련의 조사 때문에 사과가 늦어졌으며, 책임져야 할 일에 대해 마땅히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또 재발 방지책으로 ▲심사위원 선정 방식을 투명하게 개선해 올해 사업 심의에 적용했고 ▲불만 사항을 신고받기 위해 옴부즈만제도를 신설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문화예술위의 지원 사업은 여전히 문화예술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날 한국문인협회(이사장 문효치)는 지난 8일 발표한 문화예술위의 올해 문화예술진흥기금 정시 공모 사업에서 문인협회에 대한 지원금이 크게 삭감됐다며 이의를 제기했다. 문인협회는 "심의위원회 구성이 잘못됐고 선정 원칙에도 일관성이 없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