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줄다리기, 무대공연으로…어떻게?

  • 뉴시스

입력 : 2016.10.05 09:58

한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다섯 종목이 전북 전주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대공연장 무대에 오른다.

김장문화, 남사당놀이, 줄다리기, 처용무, 그리고 가곡을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이 8~29일 매주 토요일 오후 4시 ‘2016 토요상설공연’으로 선보인다. 김장문화와 줄다리기를 공연하는 것은 처음이다.

8일 ‘김장문화,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문화’는 음식을 주제로 한 판소리와 서도소리 공연을 펼친다. 조선왕조궁중음식 한복선 전승자가 공동체 문화인 김장을 소개한다. 이날 오후 3시부터 40분간 얼쑤마루 공연장 로비에서는 김치 샌드위치와 동치미 카나페 등 김치요리를 맛볼 수 있다.

15일 ‘남사당놀이’는 남자들로 구성된 광대극이다. 유랑예인들이 벌이던 다양한 민속공연인 유랑의 남사당놀이를 즐길 수 있다.

22일 ‘줄다리기’는 줄다리기의 공동체 정신을 공유하는 창작극이다. 기지시줄다리기보존회가 출연한다. 29일 ‘처용무·가곡, 국악반현반주로 부르는 서정적 노래’에서는 궁중정재와 궁중음악을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다. 처용무는 현전 가장 오래된 궁중정재, 가곡은 한국의 대표적 성악곡이다. 호탕한 처용무와 온화한 가곡이 어우러진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된 한국 종목은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판소리, 강릉단오제,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처용무, 가곡, 대목장, 매사냥, 줄타기, 택견, 한산모시짜기, 아리랑, 김장문화, 농악, 줄다리기 등 18개다. 개인적인 기·예능을 벗어나 공동체 문화로 범위가 확대, 등재되는 추세다.
  • Copyrights ⓒ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