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6.09.29 13:45

"정부 지원 방식 바꿔야" 지적
지난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로 수렁에 빠진 공연계를 돕고자 정부가 진행한 '공연티켓 1+1 사업'을 악용한 공연 관계자들이 적발됐다. 공연계는 우려했던 일이 터졌다는 반응이다.
'공연티켓 1+1 사업'은 지난해 8월부터 올해 2월까지 1500여개 작품을 대상으로 300억원이 지원됐다. 관객이 공연 티켓을 구입할 경우 티켓 한 장을 더 제공했다. 추가 티켓 금액은 정부가 제작사에 지원했다.
대학로 극단 S씨는 이 점을 감안, 사재기를 통해 국가보조금을 챙겼다. 예컨대, 티켓 1000만원어치를 사재기하면 정부가 1000만원을 지원한다는 걸 노린 것이다.
결국 극단 입장에서는 돈 지출 없이 총 2000만원 가량의 티켓을 갖추게 된 것이다. 결국 정부 보조금은 '눈먼 돈'이 됐다. 극단은 이 티켓값을 깎아 다른 판매처에 넘겨 수익을 냈다.
사업 주관 판매처인 인터파크티켓은 동일 아이디 구매가능티켓 수량을 제한하는 등 사재기를 막기 위한 방안을 세웠다.
하지만 직원은 물론 배우, 공짜 표를 노리고 아이디를 빌려준 일반인 등의 아이디와 비번으로 티켓을 사들이는 묘수에는 속수무책이었다. 보습학원이나 학습지업체 등을 찾아가 무료 공연을 보여주겠다는 속임수도 더해졌다. 다른 극단 관계자 B는 "친한 제작사끼리 아이디를 공유하는 사례도 있었다"고 알렸다. 허위로 티켓을 사들인 정황을 단속 등에서 들키지 않기 위해 무료 초대권을 남발해 객석을 채우기도 했다. 1+1 티켓 판매량 대비 객석 70% 미달 시 사재기로 간주됐지만, 이들의 객석 채우기 행태는 이마저 비껴갔다.
덕분에 티켓 판매처의 예매 순위가 상승, 입소문까지 나는 효과도 거뒀다. 사재기를 대행해주는 브로커들이 난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던 셈이다. 실제 극단 관계자 A는 "브로커의 제안을 받았으나, 이를 거절했다"고 확인했다.
B는 "예상했던 일"이라며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이미 사업 시행 전부터 공연 관계자들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당시 "관객이 들지 않았는데 정부의 지원금만 타갈 수 있다"고 예견한 공연 관계자 C씨는 "이미 이런 허점을 노리고 계획을 세우려고 했던 관계자를 봤다"고 했다.
이에 따라 일부 공연 관계자들의 '도덕적 해이'를 질타하는 목소리가 무엇보다 높다. 한편에서는 그러나 이런 행태를 유발할 수밖에 없는 정부의 지원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시 이커머스 등의 업체에서 제공하는 할인과 큰 차이가 없다는 볼멘 목소리도 나왔다. 인기 있는 작품에만 관객이 더 쏠리는 '부익부 빈익빈'의 현상도 나왔다는 분석도 있다. 공연계가 침체를 벗어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었던 것이다.
임시방편의 처약보다는 공연계 체질을 바꿀 수 있는 지원방안을 오랜기간 고심해서 내놓아야 한다는 의견이 업계에 모아지고 있는 이유다.
'공연티켓 1+1 사업'으로 큰 도움을 받지는 못했다는 공연관계자 D 씨는 "어떤 지원책도 공연계 관계자들에게 고루 돌아갈 수 없다는 건 안다. 하지만 일부에 쏠릴 수밖에 없는 지원책보다는 인프라 등 업계 전반을 위한 시스템을 갖추는데 관심을 좀 더 기울여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2부(부장검사 이근수)는 S씨를 사기 및 보조금관리에 관한 법률위반 혐의로 구속 기소했다. 다른 극단 대표 N등 10명도 같은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고 11명은 약식기소했다. 검찰은 이들이 부당하게 수령한 보조금이 전액 환수될 수 있도록 조치할 방침이다.
지난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로 수렁에 빠진 공연계를 돕고자 정부가 진행한 '공연티켓 1+1 사업'을 악용한 공연 관계자들이 적발됐다. 공연계는 우려했던 일이 터졌다는 반응이다.
'공연티켓 1+1 사업'은 지난해 8월부터 올해 2월까지 1500여개 작품을 대상으로 300억원이 지원됐다. 관객이 공연 티켓을 구입할 경우 티켓 한 장을 더 제공했다. 추가 티켓 금액은 정부가 제작사에 지원했다.
대학로 극단 S씨는 이 점을 감안, 사재기를 통해 국가보조금을 챙겼다. 예컨대, 티켓 1000만원어치를 사재기하면 정부가 1000만원을 지원한다는 걸 노린 것이다.
결국 극단 입장에서는 돈 지출 없이 총 2000만원 가량의 티켓을 갖추게 된 것이다. 결국 정부 보조금은 '눈먼 돈'이 됐다. 극단은 이 티켓값을 깎아 다른 판매처에 넘겨 수익을 냈다.
사업 주관 판매처인 인터파크티켓은 동일 아이디 구매가능티켓 수량을 제한하는 등 사재기를 막기 위한 방안을 세웠다.
하지만 직원은 물론 배우, 공짜 표를 노리고 아이디를 빌려준 일반인 등의 아이디와 비번으로 티켓을 사들이는 묘수에는 속수무책이었다. 보습학원이나 학습지업체 등을 찾아가 무료 공연을 보여주겠다는 속임수도 더해졌다. 다른 극단 관계자 B는 "친한 제작사끼리 아이디를 공유하는 사례도 있었다"고 알렸다. 허위로 티켓을 사들인 정황을 단속 등에서 들키지 않기 위해 무료 초대권을 남발해 객석을 채우기도 했다. 1+1 티켓 판매량 대비 객석 70% 미달 시 사재기로 간주됐지만, 이들의 객석 채우기 행태는 이마저 비껴갔다.
덕분에 티켓 판매처의 예매 순위가 상승, 입소문까지 나는 효과도 거뒀다. 사재기를 대행해주는 브로커들이 난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던 셈이다. 실제 극단 관계자 A는 "브로커의 제안을 받았으나, 이를 거절했다"고 확인했다.
B는 "예상했던 일"이라며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이미 사업 시행 전부터 공연 관계자들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당시 "관객이 들지 않았는데 정부의 지원금만 타갈 수 있다"고 예견한 공연 관계자 C씨는 "이미 이런 허점을 노리고 계획을 세우려고 했던 관계자를 봤다"고 했다.
이에 따라 일부 공연 관계자들의 '도덕적 해이'를 질타하는 목소리가 무엇보다 높다. 한편에서는 그러나 이런 행태를 유발할 수밖에 없는 정부의 지원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시 이커머스 등의 업체에서 제공하는 할인과 큰 차이가 없다는 볼멘 목소리도 나왔다. 인기 있는 작품에만 관객이 더 쏠리는 '부익부 빈익빈'의 현상도 나왔다는 분석도 있다. 공연계가 침체를 벗어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었던 것이다.
임시방편의 처약보다는 공연계 체질을 바꿀 수 있는 지원방안을 오랜기간 고심해서 내놓아야 한다는 의견이 업계에 모아지고 있는 이유다.
'공연티켓 1+1 사업'으로 큰 도움을 받지는 못했다는 공연관계자 D 씨는 "어떤 지원책도 공연계 관계자들에게 고루 돌아갈 수 없다는 건 안다. 하지만 일부에 쏠릴 수밖에 없는 지원책보다는 인프라 등 업계 전반을 위한 시스템을 갖추는데 관심을 좀 더 기울여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2부(부장검사 이근수)는 S씨를 사기 및 보조금관리에 관한 법률위반 혐의로 구속 기소했다. 다른 극단 대표 N등 10명도 같은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고 11명은 약식기소했다. 검찰은 이들이 부당하게 수령한 보조금이 전액 환수될 수 있도록 조치할 방침이다.
- Copyrights ⓒ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