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6.09.02 09:44

공연계가 28일 시행되는 김영란법(부정 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후폭풍에 노심초사하고 있다.
특히 뮤지컬, 클래식음악계의 고민이 많다. 대부분의 티켓 값이 선물 상한액인 5만원을 넘어서기 때문이다. 문화 접대를 위해 티켓을 대량 구매한 기업들의 활동 위축이 가장 큰 걱정거리다.
◇뮤지컬 혹시나, 클래식업계 전전긍긍
대형 뮤지컬 전체 객석에 대한 기업 구매량은 약 20% 안팎으로 추정된다. 이미 김영란법 시행을 앞두고 앞선 몇몇 공연의 티켓에 대한 기업 구매량이 줄었다. 연말에 예정된 뮤지컬에 대한 기업에 대한 관심도 예년에 비해 덜하다는 것이 업계의 전언이다.
연말 공연을 올릴 예정인 제작사 관계자는 “기업들이 김영란법을 이야기하며 예전보다 관심을 덜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마니아 층 등 개별 고객이 많은 뮤지컬은 그나마 낫다. 일반 관객이 적은 오페라를 비롯한 클래식음악 업계는 큰 타격을 받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클래식음악계는 유료 관객의 절반가량을 기업 협찬 등에 의존하고 있다. 오페라 제작사 관계자는 “기업이 티켓 구매에 몸을 사리면, 우리는 앞으로 제작을 더 해나갈 수 없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엔터테인먼트 업계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가요 콘서트 시장 때문이다. 팬층이 확고해 뮤지컬이나 클래식업계보다 덜하다. 하지만 관계자들을 초대하는 것이 김영란법에 어긋날까, 위축되고 있다. 가을에 콘서트를 열 연예기획사 관계자는 “그간 도움을 준 분들을 초대하는 것이 관례처럼 됐는데 이번에 난감하게 됐다”고 말했다.
◇기업들, 일단 지켜보겠다…결국 허약한 공연시장 체질
뮤지컬, 클래식음악 공연 제작사 관계자들은 애만 태우고 있다.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명시되지 않은 탓에 기업들이 우선 지켜보겠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뮤지컬 제작사 관계자는 “다른 기획사와 공연장 등에 슬쩍 물어봐도 기업들이 협찬 등과 관련 명확한 입장을 주지 않고 있더라”고 귀띔했다. 사회공헌 차원에서 공연 티켓 등을 대량 구매하고 있음에도 기업 입장에서는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티켓 자체가 자칫 유관 기관 등에 흘러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김영란법은 개인아니 법인의 개별 사례를 따져 저촉되는 건 없는지 유권해석을 해야 하는 터라, 어느 선까지 법에 저촉되는지 알 수가 없는 상황이다.
일부에서는 공짜표 남발과 부정 청탁 등을 막는 긍정적인 부분을 애써 보고 있기는 하다. 특히 기업 내 문화 회식, 공연 제작사 등과 관련이 없는 선에서 개별로 진행하는 저렴한 문화 접대가 늘 거라는 기대다.
하지만 문화 회식은 사실상 빈도에 한계가 있고, 저렴한 공연의 문화 접대 역시 수요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무리한 낙관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특히 2013년 국세청에 신고된 기업의 접대비 지출 금액은 9조원이 넘었는데 문화접대비 신고금액은 고작 45억원에 불과했다. 비중으로 따지면 0.05%. 이후에도 크게 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 건전한 접대문화 조성, 문화예술 진흥 지원 등을 위해 도입한 문화접대비 제도가 유명무실했던 셈이다. 대형 뮤지컬 제작사 관계자는 “문화 접대에 한해서, 선물 상한액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이번 공연계 우려는 허약한 문화 시장에 기반한 것이라는 분석력도 설득력이 크다. 공연계 침체로 티켓 판매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또 다른 위기감이라는 것이다.
공연계 관계자는 “단체 티켓 판매가 끊겨서 기획사가 흔들린다는 건 개별 구매의 비중이 낮다는 걸 반증한다”며 “공연 시장이 건강하지 않은데 기업 단체 판매로 그때그때 수혈해가며 겨우 버텨온 사실이 새삼 드러나 안타깝다”고 말했다.
특히 뮤지컬, 클래식음악계의 고민이 많다. 대부분의 티켓 값이 선물 상한액인 5만원을 넘어서기 때문이다. 문화 접대를 위해 티켓을 대량 구매한 기업들의 활동 위축이 가장 큰 걱정거리다.
◇뮤지컬 혹시나, 클래식업계 전전긍긍
대형 뮤지컬 전체 객석에 대한 기업 구매량은 약 20% 안팎으로 추정된다. 이미 김영란법 시행을 앞두고 앞선 몇몇 공연의 티켓에 대한 기업 구매량이 줄었다. 연말에 예정된 뮤지컬에 대한 기업에 대한 관심도 예년에 비해 덜하다는 것이 업계의 전언이다.
연말 공연을 올릴 예정인 제작사 관계자는 “기업들이 김영란법을 이야기하며 예전보다 관심을 덜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마니아 층 등 개별 고객이 많은 뮤지컬은 그나마 낫다. 일반 관객이 적은 오페라를 비롯한 클래식음악 업계는 큰 타격을 받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클래식음악계는 유료 관객의 절반가량을 기업 협찬 등에 의존하고 있다. 오페라 제작사 관계자는 “기업이 티켓 구매에 몸을 사리면, 우리는 앞으로 제작을 더 해나갈 수 없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엔터테인먼트 업계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가요 콘서트 시장 때문이다. 팬층이 확고해 뮤지컬이나 클래식업계보다 덜하다. 하지만 관계자들을 초대하는 것이 김영란법에 어긋날까, 위축되고 있다. 가을에 콘서트를 열 연예기획사 관계자는 “그간 도움을 준 분들을 초대하는 것이 관례처럼 됐는데 이번에 난감하게 됐다”고 말했다.
◇기업들, 일단 지켜보겠다…결국 허약한 공연시장 체질
뮤지컬, 클래식음악 공연 제작사 관계자들은 애만 태우고 있다.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명시되지 않은 탓에 기업들이 우선 지켜보겠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뮤지컬 제작사 관계자는 “다른 기획사와 공연장 등에 슬쩍 물어봐도 기업들이 협찬 등과 관련 명확한 입장을 주지 않고 있더라”고 귀띔했다. 사회공헌 차원에서 공연 티켓 등을 대량 구매하고 있음에도 기업 입장에서는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티켓 자체가 자칫 유관 기관 등에 흘러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김영란법은 개인아니 법인의 개별 사례를 따져 저촉되는 건 없는지 유권해석을 해야 하는 터라, 어느 선까지 법에 저촉되는지 알 수가 없는 상황이다.
일부에서는 공짜표 남발과 부정 청탁 등을 막는 긍정적인 부분을 애써 보고 있기는 하다. 특히 기업 내 문화 회식, 공연 제작사 등과 관련이 없는 선에서 개별로 진행하는 저렴한 문화 접대가 늘 거라는 기대다.
하지만 문화 회식은 사실상 빈도에 한계가 있고, 저렴한 공연의 문화 접대 역시 수요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무리한 낙관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특히 2013년 국세청에 신고된 기업의 접대비 지출 금액은 9조원이 넘었는데 문화접대비 신고금액은 고작 45억원에 불과했다. 비중으로 따지면 0.05%. 이후에도 크게 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 건전한 접대문화 조성, 문화예술 진흥 지원 등을 위해 도입한 문화접대비 제도가 유명무실했던 셈이다. 대형 뮤지컬 제작사 관계자는 “문화 접대에 한해서, 선물 상한액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이번 공연계 우려는 허약한 문화 시장에 기반한 것이라는 분석력도 설득력이 크다. 공연계 침체로 티켓 판매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또 다른 위기감이라는 것이다.
공연계 관계자는 “단체 티켓 판매가 끊겨서 기획사가 흔들린다는 건 개별 구매의 비중이 낮다는 걸 반증한다”며 “공연 시장이 건강하지 않은데 기업 단체 판매로 그때그때 수혈해가며 겨우 버텨온 사실이 새삼 드러나 안타깝다”고 말했다.
- Copyrights ⓒ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