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예술 통합전산망 구축 급물살…인터파크 최종 조율중

  • 뉴시스

입력 : 2016.05.31 09:47

공연계의 오랜 숙원인 공연예술통합전산망에 대한 논의가 시범운영을 시작한 지 2년 만에 급물살을 타고 있다.

30일 인터파크 등 공연계에 따르면 공연 티켓예매 시장의 60%를 점유하고 있는 인터파크는 공연예술 통합전산망 참여를 놓고 문화체육관광부·예술경영지원센터 등과 함께 협의 사항을 최종 조율하고 있다.

인터파크의 공연예술통합전산망 참여는 진작부터 예고됐다. 업계 1위에 대한 책임을 요구하는 공연계에 부응, 출범 때부터 전산망 참여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왔다. 하지만 개별 공연기획사가 관객수 등을 밝히기를 꺼려하면서 전산망에 대한 논의는 지지부진했다.

공연계에는 작품별 누적 관객수와 매출액을 투명하게 알 수 있는 공식 통계가 없다. 이에 따라 산업으로 정착하는데 한계가 따른다는 지적이 나왔다. 해당 분야가 산업으로 정착하려면, 통계 데이터 등 여러가지 분석을 통한 시장 투명성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을 이야기할 때 자연스레 따라나오는 사례는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이다. 영화는 관람가격이 동일하고 초대권이 없다. 연간 상영편수가 제한적인 데다 멀티플렉스 체인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어 데이터베이스(DB)를 전송받고 통계화하는데 비교적 수월하다

공연은 하지만 티켓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무료초대권이 상대적으로 많은 데다 연간 등록편수가 1만개가 넘어 DB를 구축하는 데 한계가 있다. 게다가 예매처, 공연장, 기획사들이 사용하는 예매·발권시스템도 수십종이다.

게다가 공연예술통합전산망에는 그간 주요 국공립 공연장 위주의 예매 시스템만 참여해왔다.

최근 예스24·클립서비스·NHN티켓링크·옥션 G마켓·하나프리티켓 등 5개 티켓예매 사업자 역시 '문화공연티켓 유통산업협회'를 설립, 통합전산망 구축에 힘을 싣고 있다.

하지만 공연예술통합전산망 구축을 위해 풀어야할 과제는 여전히 산더미다. 특히 예매처마다 좌석을 공유해야 하는 '좌석공유제'의 기술적인 부분, 회원 데이터베이스와 판매 데이터베이스를 따로 분류해야 하는 등 법적인 문제도 얽혀 있다. 무엇보다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이 궤도에 오르려면 뮤지컬 등 공연예술 기획·제작사의 참여가 필수다. 특히 흥행에 성공하지 못한 작품의 제작사들은 '실패한 작품'으로 낙인찍히는 것이 싫어 티켓 정보를 오픈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크다. 인터파크 역시 그간 개별 제작사들의 동의를 얻기 힘들어 자세한 티켓 정보를 공유하지 못했다.

일부 공연계 관계자들은 스스로 배우들의 개런티를 조사해서 기준을 만드는 등 많은 곳에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자정 능력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한 관계자는 "정부가 공연 제작사들이 투명한 정보를 공개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이익을 주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문체부는 관객수와 티켓 판매 금액 등 공연 정보를 의무적으로 제공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연법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다.
  • Copyrights ⓒ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