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5.08.18 23:47
-문체부 '문화융성 시즌2' 발표
'참 대한민국' 브랜드 개발… 韓流 전파 적극 지원 나서
'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 확대

2017년부터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은 경복궁 옆 복합 문화공간 'K-익스피리언스(Experience)'에서 한국 문화를 종합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된다. 또 올림픽공원 내 1만5000석 규모 K팝 공연장에서는 한류 아이돌 그룹의 공연을 즐길 수 있게 된다.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8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국정 2기, 문화융성의 방향과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현 정부 4대 국정기조의 하나인 '문화융성'을 정부 하반기 들어 다시 한번 다듬어서 추진하겠다는 것으로, '문화융성 시즌2'인 셈이다. 방향은 ①문화를 통한 '코리아 프리미엄' 창출 ②전통문화의 재발견과 새로운 가치 창출 ③문화 창조 융합벨트의 산업화 ④국민 생활 속 문화 확산으로 잡았다.
◇한국 문화 체험 공간, K팝 공연장
서울 상암동(문화 창조 융합센터), 청계천(문화 창조 벤처단지), 홍릉(문화 창조 아카데미), 경기 일산(K컬처 밸리) 등 기존에 계획된 문화 창조 융합벨트 거점에 이어, 송현동(K-익스피리언스), 올림픽공원(K팝 공연장) 등 새로운 '거점'이 두 곳 더 만들어진다.
서울 종로구 송현동 옛 미국대사관 숙소 부지에 건립될 K-익스피리언스는 한국 문화 체험 관광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게 된다. 설립을 맡은 대한항공 측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라이브(Live), 중국 상하이 신톈디(新天地), 일본 도쿄 롯폰기(六本木) 힐스 등을 벤치마킹한 복합 문화공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8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국정 2기, 문화융성의 방향과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현 정부 4대 국정기조의 하나인 '문화융성'을 정부 하반기 들어 다시 한번 다듬어서 추진하겠다는 것으로, '문화융성 시즌2'인 셈이다. 방향은 ①문화를 통한 '코리아 프리미엄' 창출 ②전통문화의 재발견과 새로운 가치 창출 ③문화 창조 융합벨트의 산업화 ④국민 생활 속 문화 확산으로 잡았다.
◇한국 문화 체험 공간, K팝 공연장
서울 상암동(문화 창조 융합센터), 청계천(문화 창조 벤처단지), 홍릉(문화 창조 아카데미), 경기 일산(K컬처 밸리) 등 기존에 계획된 문화 창조 융합벨트 거점에 이어, 송현동(K-익스피리언스), 올림픽공원(K팝 공연장) 등 새로운 '거점'이 두 곳 더 만들어진다.
서울 종로구 송현동 옛 미국대사관 숙소 부지에 건립될 K-익스피리언스는 한국 문화 체험 관광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게 된다. 설립을 맡은 대한항공 측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라이브(Live), 중국 상하이 신톈디(新天地), 일본 도쿄 롯폰기(六本木) 힐스 등을 벤치마킹한 복합 문화공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을 480억원을 들여 리모델링하는 K팝 공연장은 철골 구조 지붕과 가변형 무대, 첨단 음향·조명 시설을 통해 상시 K팝 공연이 가능한 국내 첫 아레나(원형) 공연장이 된다.
◇수준 높아진 한류의 전파
올해 말까지 우리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핵심 가치를 담은 '참 대한민국(True Korea)' 국가 브랜드가 개발된다. 이를 위해 지난 6월까지 대국민 공모전을 진행해 2만2000점의 사진·그림·영상을 접수했다. 이 브랜드를 세계에 전파할 한국문화원은 올해 28곳에서 2017년 33곳으로 늘어난다.
한류(韓流)의 전파를 돕는 '문화영토 확장'에도 나선다. 기업의 독자 진출이 어려운 남미·중동·아프리카 등 신흥 시장의 활동을 지원하고, 동남아 등 성숙한 시장에선 한류를 소비재 수출과 연계하겠다는 것이다.
대중문화 일변도로 진행돼 온 한류의 폭을 넓혀 '한국 인문학'의 전파로 확장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한국이 지닌 세계기록유산의 세계화, 한문으로 쓰인 한국 고전 작품을 우리말로 풀어쓰고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사업도 확대한다. 재외문화원에 '아리랑 홍보관'을 설치하는 등 한국을 대표하는 '킬러 콘텐츠'를 만드는 작업도 진행한다.
◇'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 확대
국민의 문화 향유 확대를 위해 현재 매달 마지막 수요일에 여는 '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이와 별도로 기업·학교 등 참여기관이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문화가 있는 날 플러스(+)' 사업도 연다. 실버 세대를 위한 '1인(人) 2기(技·문화예술 1개, 스포츠 1개)' 캠페인, 이들의 지혜와 흥(興)을 전 세대가 나누는 '인생나눔교실' 등 세대별 문화 향유 프로그램도 늘릴 예정이다.
◇수준 높아진 한류의 전파
올해 말까지 우리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핵심 가치를 담은 '참 대한민국(True Korea)' 국가 브랜드가 개발된다. 이를 위해 지난 6월까지 대국민 공모전을 진행해 2만2000점의 사진·그림·영상을 접수했다. 이 브랜드를 세계에 전파할 한국문화원은 올해 28곳에서 2017년 33곳으로 늘어난다.
한류(韓流)의 전파를 돕는 '문화영토 확장'에도 나선다. 기업의 독자 진출이 어려운 남미·중동·아프리카 등 신흥 시장의 활동을 지원하고, 동남아 등 성숙한 시장에선 한류를 소비재 수출과 연계하겠다는 것이다.
대중문화 일변도로 진행돼 온 한류의 폭을 넓혀 '한국 인문학'의 전파로 확장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한국이 지닌 세계기록유산의 세계화, 한문으로 쓰인 한국 고전 작품을 우리말로 풀어쓰고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사업도 확대한다. 재외문화원에 '아리랑 홍보관'을 설치하는 등 한국을 대표하는 '킬러 콘텐츠'를 만드는 작업도 진행한다.
◇'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 확대
국민의 문화 향유 확대를 위해 현재 매달 마지막 수요일에 여는 '문화가 있는 날'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이와 별도로 기업·학교 등 참여기관이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문화가 있는 날 플러스(+)' 사업도 연다. 실버 세대를 위한 '1인(人) 2기(技·문화예술 1개, 스포츠 1개)' 캠페인, 이들의 지혜와 흥(興)을 전 세대가 나누는 '인생나눔교실' 등 세대별 문화 향유 프로그램도 늘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