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5.08.18 09:46

"김선욱은 음악적 깊이가 있는 보기 드문 연주자예요. 선욱이를 만날 때면, 나를 위해 피아노를 쳐달라고 연주를 부탁해요. 제가 피아노곡을 쓴다면 다음은 선욱이를 위한 작품일 겁니다. 첼리스트 이상 엔더스와 듀오를 위해 작품을 쓸 생각도 하고 있고요."(진은숙, 2015년 4월 BBC 뮤직 매거진 어워드 '프리미어'상 수상 직후)
세계적인 작곡가 진은숙을 사로잡은 동갑내기 두 뮤지션인 피아니스트 김선욱(27)과 첼리스트 이상 엔더스(27)가 베토벤 첼로 프로젝트로 의기투합했다.
진은숙의 피아노 협주곡(1996~97)을 도이치 그라모폰(DG)에서 녹음하고 BBC 뮤직 매거진 '프리미어상'을 수상한 김선욱은 진은숙과의 폭넓은 대화를 통해 그녀의 음악 세계를 이해하는 피아니스트다.
이상 엔더스는 진은숙의 첼로 협주곡(2009/13)으로 노르웨이와 파리에서 데뷔 무대를 갖은 진은숙 스페셜리스트다. 두 사람 모두 진은숙의 현대 음악 프로그램 '아르스노바'에 참여했다. 김선욱과 이상 엔더스는 2차례에 걸쳐 베토벤 첼로 곡들을 탐험한다. 베토벤의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전곡(5곡)과 함께 베토벤이 남긴 다양한 변주곡을 연주한다. 공연 전 두 사람과 각자 진행한 서면 인터뷰를 통해 이번 공연의 퍼즐이 완성됐다.
런던을 근거지로 활동 중인 김선욱은 2006년 리즈 콩쿠르 우승으로 세계무대에 데뷔한 이래 독주회와 협연 뿐 아니라 다양한 편성의 실내악 피아니스트로 참가하며 국내외에서 각광받아왔다. 2015~16 시즌은 리즈 콩쿠르 우승 때 반주를 맡은 마크 엘더 & 할레 오케스트라와 9월 6차례에 걸쳐 라흐마니노프 협주곡 3번을 연주하고 노부코 이마이와 실내악 프로젝트를 도쿄와 오사카에서 완수한 뒤 파보 예르비·도이치 캄머필과 슈만 협주곡을 연주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어떻게 시작을 하게 된 건가요?
"이상 엔더스와는 2012년 11월 서울시향과 바르톡 2번을 연주하고 가졌던 식사자리에서 처음 만났습니다. 진은숙 선생님이 굉장한 첼리스트가 있다면서 소개시켜주셨죠. 저랑 이상이랑 같이 연주한다면 엄청난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거라고 거듭 얘기해 주셨어요. 그 뒤로 런던에 이상이 놀러왔을 때 몇 가지 레퍼토리를 같이 연습하면서 음악적으로 굉장히 잘 맞는 것이 많다고 느꼈죠. 그래서 베토벤을 같이 연주하자는 아이디어도 자연스럽게 나왔습니다."
-이상 엔더스와 호흡은 어떻습니까?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여태까지 같이 연습해 본 결과로서는 호흡이 좋아요. 음악이 가진 가치와 아름다움을 생각하는 방향도 비슷하고 베토벤이라는 작곡가를 해석하는데 의견이 일치하는 부분이 많죠."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 시리즈와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전곡 연주를 마쳤어요. 이후에 진행하는 이 프로젝트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전곡을 연주하는 가장 큰 의미는 작곡가의 인생과 음악을 조금 더 넓은 시야로 바라보며 탐구하고 연구하는 것입니다. 피아노 소나타와 협주곡 전곡연주의 연장선상이라고 생각하기 보다는 베토벤을 조금 더 이해하는 작업이라는 점이 이번 프로젝트의 의미입니다."
-당신에게 베토벤은 어떤 의미입니까?
"사실 베토벤 말고도 많은 작곡가를 공부하고 연주했지만 그 중심에 베토벤이 있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한국예술종합학교를 다닐 때 많은 바이올린 소나타, 피아노 3중주를 공부했고 피아노 협주곡 5개를 연주했으며 많은 피아노 소나타를 배웠죠. 그 이후에 오케스트라와 합창이 함께 하는 코랄 판타지, 그리고 영국 왕립음악원에서 지휘를 배울 때는 교향곡들과 에그몬트, 피델리오, 프로메테우스 서곡, 바이올린 협주곡 등을 많이 탐구했어요. 베토벤의 음악이 주는 희열과 감동, 따뜻함과 사랑스러움 때문에 제 음악적 카테고리에 가장 첫 멘토가 되지 않았나 싶어요. 첼로 소나타를 자주 연주해보지 않아 꼭 하고 싶었고 이번 8월에 좋은 친구이자 멋진 첼리스트를 만나 같이 연주할 수 있어 기쁘고 기다려집니다."
-당신은 음악을 탐구한다는, 지적인 이미지가 있어요. 당신에게 연주는 어떤 의미이고 연주하기 전 연주할 때 해당 곡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나요?
"곡에 접근하는 방식은 여러가지입니다. 물론 곡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돼야 하는 건 기본이고 어떤 음악은 시중에 나와있는 음반을 모조리 사서 들어보기도 하고 또는 아무것도 참조하지 않고 백지에서 시작하기도 합니다. 여러 해석을 접목하며 제일 자연스러운 방법을 찾습니다. 연주의 의미는 글쎄요, 직업을 넘어서는 무언가가 무대에는 존재합니다. 물론 청중이 없으면 연주자도 없겠지요. 하지만 연주할 때에는 내 자신의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앞서 지난 10년간 국내에서 양성원-파스칼 드봐이용, 피터 비스펠베이-알렉산더 멜니코프 등의 거장들이 베토벤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전곡연주를 했죠. 앞선 선배들과 당신과 이상 엔더스의 조합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일단 무엇보다 젊을 때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베토벤의 작품을 모두 연주해 보는 것이 제일 저랑 이상에게는 엄청난 경험이고 공부입니다. 차이점은 생각해 본 적이 없습니다."
-당신의 협업에는 국적의 경계가 없습니다. 음악 자체가 마치 당신에게 여권처럼 느껴지기도 하는데요. 음악이 세계를 이어주는데 어떤 역할을 할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혹시 음악만이 할 수 있는 일이 있을까요?
"음악 자체가 국적의 경계가 없습니다. 예술적 의미에서 문학은 언어의 벽이 있고 미술은 레퍼런스의 기준이 모호할 때가 있지만 음악은 상대적으로 객관적이며 귀로 전달되기 때문에 무엇보다 직접적입니다. 음악이 세상을 바꿀 수는 없지만 그래도 지치거나 힘들 때 사람들에게 행복을 주는 가장 훌륭한 매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젊은 거장'이라는 수식이 붙는 몇 안되는 아티스트입니다. 이 말 자체에 대한 부담감이 있나요?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수식이 혹시 있나요?
"수식은 무의미합니다. 그리고 제 자신이 수식을 붙인 적도 없고 그럴 생각도 없기에 부담감도 없고 좋아하는 수식도 없습니다."
'김선욱·이상 엔더스 듀오 콘서트' 8월 29~30일 오후 2시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서울 공연 직전인 25일 오후 7시30분 여수 예울마루 대극장, 28일 오후 8시 강동 아트센터 대극장 한강 무대에도 오른다. 빈체로 & 봄아트프로젝트. 2만~6만원. 02-599-5743
세계적인 작곡가 진은숙을 사로잡은 동갑내기 두 뮤지션인 피아니스트 김선욱(27)과 첼리스트 이상 엔더스(27)가 베토벤 첼로 프로젝트로 의기투합했다.
진은숙의 피아노 협주곡(1996~97)을 도이치 그라모폰(DG)에서 녹음하고 BBC 뮤직 매거진 '프리미어상'을 수상한 김선욱은 진은숙과의 폭넓은 대화를 통해 그녀의 음악 세계를 이해하는 피아니스트다.
이상 엔더스는 진은숙의 첼로 협주곡(2009/13)으로 노르웨이와 파리에서 데뷔 무대를 갖은 진은숙 스페셜리스트다. 두 사람 모두 진은숙의 현대 음악 프로그램 '아르스노바'에 참여했다. 김선욱과 이상 엔더스는 2차례에 걸쳐 베토벤 첼로 곡들을 탐험한다. 베토벤의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전곡(5곡)과 함께 베토벤이 남긴 다양한 변주곡을 연주한다. 공연 전 두 사람과 각자 진행한 서면 인터뷰를 통해 이번 공연의 퍼즐이 완성됐다.
런던을 근거지로 활동 중인 김선욱은 2006년 리즈 콩쿠르 우승으로 세계무대에 데뷔한 이래 독주회와 협연 뿐 아니라 다양한 편성의 실내악 피아니스트로 참가하며 국내외에서 각광받아왔다. 2015~16 시즌은 리즈 콩쿠르 우승 때 반주를 맡은 마크 엘더 & 할레 오케스트라와 9월 6차례에 걸쳐 라흐마니노프 협주곡 3번을 연주하고 노부코 이마이와 실내악 프로젝트를 도쿄와 오사카에서 완수한 뒤 파보 예르비·도이치 캄머필과 슈만 협주곡을 연주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어떻게 시작을 하게 된 건가요?
"이상 엔더스와는 2012년 11월 서울시향과 바르톡 2번을 연주하고 가졌던 식사자리에서 처음 만났습니다. 진은숙 선생님이 굉장한 첼리스트가 있다면서 소개시켜주셨죠. 저랑 이상이랑 같이 연주한다면 엄청난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거라고 거듭 얘기해 주셨어요. 그 뒤로 런던에 이상이 놀러왔을 때 몇 가지 레퍼토리를 같이 연습하면서 음악적으로 굉장히 잘 맞는 것이 많다고 느꼈죠. 그래서 베토벤을 같이 연주하자는 아이디어도 자연스럽게 나왔습니다."
-이상 엔더스와 호흡은 어떻습니까?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여태까지 같이 연습해 본 결과로서는 호흡이 좋아요. 음악이 가진 가치와 아름다움을 생각하는 방향도 비슷하고 베토벤이라는 작곡가를 해석하는데 의견이 일치하는 부분이 많죠."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 시리즈와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전곡 연주를 마쳤어요. 이후에 진행하는 이 프로젝트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전곡을 연주하는 가장 큰 의미는 작곡가의 인생과 음악을 조금 더 넓은 시야로 바라보며 탐구하고 연구하는 것입니다. 피아노 소나타와 협주곡 전곡연주의 연장선상이라고 생각하기 보다는 베토벤을 조금 더 이해하는 작업이라는 점이 이번 프로젝트의 의미입니다."
-당신에게 베토벤은 어떤 의미입니까?
"사실 베토벤 말고도 많은 작곡가를 공부하고 연주했지만 그 중심에 베토벤이 있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한국예술종합학교를 다닐 때 많은 바이올린 소나타, 피아노 3중주를 공부했고 피아노 협주곡 5개를 연주했으며 많은 피아노 소나타를 배웠죠. 그 이후에 오케스트라와 합창이 함께 하는 코랄 판타지, 그리고 영국 왕립음악원에서 지휘를 배울 때는 교향곡들과 에그몬트, 피델리오, 프로메테우스 서곡, 바이올린 협주곡 등을 많이 탐구했어요. 베토벤의 음악이 주는 희열과 감동, 따뜻함과 사랑스러움 때문에 제 음악적 카테고리에 가장 첫 멘토가 되지 않았나 싶어요. 첼로 소나타를 자주 연주해보지 않아 꼭 하고 싶었고 이번 8월에 좋은 친구이자 멋진 첼리스트를 만나 같이 연주할 수 있어 기쁘고 기다려집니다."
-당신은 음악을 탐구한다는, 지적인 이미지가 있어요. 당신에게 연주는 어떤 의미이고 연주하기 전 연주할 때 해당 곡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나요?
"곡에 접근하는 방식은 여러가지입니다. 물론 곡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돼야 하는 건 기본이고 어떤 음악은 시중에 나와있는 음반을 모조리 사서 들어보기도 하고 또는 아무것도 참조하지 않고 백지에서 시작하기도 합니다. 여러 해석을 접목하며 제일 자연스러운 방법을 찾습니다. 연주의 의미는 글쎄요, 직업을 넘어서는 무언가가 무대에는 존재합니다. 물론 청중이 없으면 연주자도 없겠지요. 하지만 연주할 때에는 내 자신의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앞서 지난 10년간 국내에서 양성원-파스칼 드봐이용, 피터 비스펠베이-알렉산더 멜니코프 등의 거장들이 베토벤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전곡연주를 했죠. 앞선 선배들과 당신과 이상 엔더스의 조합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일단 무엇보다 젊을 때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베토벤의 작품을 모두 연주해 보는 것이 제일 저랑 이상에게는 엄청난 경험이고 공부입니다. 차이점은 생각해 본 적이 없습니다."
-당신의 협업에는 국적의 경계가 없습니다. 음악 자체가 마치 당신에게 여권처럼 느껴지기도 하는데요. 음악이 세계를 이어주는데 어떤 역할을 할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혹시 음악만이 할 수 있는 일이 있을까요?
"음악 자체가 국적의 경계가 없습니다. 예술적 의미에서 문학은 언어의 벽이 있고 미술은 레퍼런스의 기준이 모호할 때가 있지만 음악은 상대적으로 객관적이며 귀로 전달되기 때문에 무엇보다 직접적입니다. 음악이 세상을 바꿀 수는 없지만 그래도 지치거나 힘들 때 사람들에게 행복을 주는 가장 훌륭한 매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젊은 거장'이라는 수식이 붙는 몇 안되는 아티스트입니다. 이 말 자체에 대한 부담감이 있나요?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수식이 혹시 있나요?
"수식은 무의미합니다. 그리고 제 자신이 수식을 붙인 적도 없고 그럴 생각도 없기에 부담감도 없고 좋아하는 수식도 없습니다."
'김선욱·이상 엔더스 듀오 콘서트' 8월 29~30일 오후 2시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서울 공연 직전인 25일 오후 7시30분 여수 예울마루 대극장, 28일 오후 8시 강동 아트센터 대극장 한강 무대에도 오른다. 빈체로 & 봄아트프로젝트. 2만~6만원. 02-599-5743
- Copyrights ⓒ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