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은 발레 세상…고전·모던·창작 진수성찬

  • 뉴시스

입력 : 2015.05.18 09:37

'3대발레단' 국립발레단·유니버설발레단·서울발레시어터 총출동
6월이 발레의 우아함을 한껏 머금었다. 고전부터 모던, 창작까지 발레의 모든 장르가 이 달에 펼쳐진다. 국내 내로라하는 발레단들이 발레의 진수성찬을 펼친다.

◇'2015 제5회 대한민국발레축제'

예술의전당(사장 고학찬)과 대한민국발레축제조직위원회(위원장 김인숙 한국발레협회 회장)가 6월 4~28일 예술의전당 일대에서 펼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발레 페스티벌이다. 개막작은 김용걸댄스씨어터의 '인사이드 오브 라이프(Inside of Life)'다. 김용걸은 1회부터 5회까지 이 축제에 꾸준히 참여한 산 증인이다.

이와 함께 국립발레단의 발레마스터인 박상철의 '셰익스피어 인 발레 - 오텔로', 단국대학교 교수인 최소빈의 '레가토', 발레 대중화를 모토로 내세우는 와이즈발레단의 '원스 어폰 어 타임 인(in) 발레', 한국과 프랑스에서 작품 활동을 하는 SEO(서)발레단의 '아따블르;À table'도 선보인다.

강원도를 대표하는 발레단인 백영태발레류보브는 독일의 대문호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모티브로 인간의 선과 악을 표현한 '데미안', 김선수발레씨어터는 우리의 고전 '춘향'을 통해 한국적 미학을 발레언어로 표현한다.

국립발레단은 클래식 발레의 대명사 '백조의 호수'를 선보인다. 러시아의 전설적인 안무가 유리 그리가로비치의 버전으로 지난해 국립발레단 공연 당시 전석 전 회차 매진을 기록했다. 올해에는 현 슈투트가르트발레단의 수석무용수인 프리드만 포겔이 출연한다.

매년 발레축제의 가장 인기 있는 프로그램은 발레야외공연이다. 축제기간 매주 토요일 총 3회에 걸쳐 신세계스퀘어 야외무대에서 무료로 펼쳐진다. 올해는 특히 국내를 대표하는 3개 발레단이 모두 참여한다. 서울발레시어터의 '브라보! 모던발레'(13일), 국립발레단의 '국립발레단 발레갈라'(20일), 유니버설발레단의 '라 바야데르 갈라'(27일)가 준비됐다.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 김지영에게 배우는 발레스트레칭과 발레체험클래스, 야외광장 곳곳에서 깜짝 등장하는 발레무용수들과의 사진촬영 이벤트 등의 부대 행사도 마련된다. 5000~8만원. 02-580-1300

◇유니버설발레단 신작 '그램 머피의 지젤'

로맨틱 발레의 명작 '지젤'을 새 시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영화 '마오의 라스트 댄서'(2009) 안무로 유명한 호주 출신의 세계적인 안무가 그램 머피가 유니버설발레단을 위해 만들었다.

지젤의 이야기 뼈대를 제외한 모든 것이 바뀐다. '지젤'이 귀족 '알브레히트'를 만나 사랑을 하다가 배신을 당한다는 기본 줄거리를 제외하고 음악, 안무, 세트, 의상 등이 새롭게 탈바꿈한다.

발레뿐만 아니라 오페라, 뮤지컬, 영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안무를 맡은 머피는 유니버설발레단을 통해 "오래 전부터 '지젤'을 새로 안무해보고 싶었다"면서 "연인의 배신, 그로 인한 지젤의 슬픔이 제게 계속 영감을 줬다"고 말했다.

머피가 세계 초연 '지젤'의 주인공으로 선택한 커플은 황혜민·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강미선·이동탁, 김나은·강민우다. 6월 13~17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지휘 미하일 그라노프스키, 협연 프라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러닝타임 100분. 1만~10만원. 02- 580-1300.

◇서울발레시어터(SBT) 창작모던발레 '레이지(RAGE)'

서울발레시어터의 창단 20주년 기념작이다. 이 발레단의 상임안무가 제임스 전이 안무한 창작모던발레다. 현대사회에 대한 분노와 살아남기 위해 질주할 수밖에 없는 우리사회의 자화상을 몸으로 표현했다.

토슈즈를 벗은 무용수들의 '맨발의 질주'가 인상적이다. 소수의 음을 반복하는 필립 글래스와 존 애덤스의 '미니멀리즘' 음악이 분노하는 감정에 힘을 싣는다.

제임스 전은 "힘 있는 것이 곧 옳은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우리 사회를 바라보며, 그 안에서 몸부림치는 우리들의 분노를 무대 위에 담아내고자 노력했다"고 소개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무용창작산실 우수작품으로 지난해 12월 초연했다. 올해 2015 공연예술 창작산실 우수작품 재공연 선정작으로 지원받았다. 6월 5~6일 LG아트센터. 3만~7만원. LG아트센터. 02-2005-0114
  • Copyrights ⓒ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