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4.07.09 02:56 | 수정 : 2014.07.09 09:43
[서울시향 타악기팀이 말한 오해와 진실]
유리잔·파이프도 두드리면 악기… 팀파니로는 아리랑 연주도 가능
지난 7일 오전 찾은 서울시향 4층 연습실은 수십 종이 넘는 타악기로 그득했다. 드럼, 팀파니, 심벌즈는 알아봤지만, 스위스 카우 벨(Cow Bell)처럼 아리송한 악기도 많았다. 연습실에 타악기가 몇 점쯤 되느냐고 묻자 단원들은 "글쎄, 우리도 정확히 세본 적이 없어서…"라고 했다.
서울시향 타악기팀은 지난달 초 LG아트센터에서 열린 후원자 콘서트에서 관객들이 뽑은 청중상을 받았다. 미국 작곡가 라우즈의 '쿠-카-일리모쿠'는 하와이 신화에서 모티브를 딴 곡으로, 흥겨우면서도 토속적인 리듬으로 환호를 받았다. 9일 금호아트홀 공연을 앞둔 서울시향 타악기팀에게 타악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물었다.

①타악 주자는 잠깐 연주하고, 수당은 똑같이 받는다?
서울시향이 지난주 연주한 라벨 피아노 협주곡 G장조는 김미연(34) 단원의 슬랩 스틱(Slap Stick·일명 짝짝이)으로 "짝" 하는 소리와 함께 시작했다. 김미연은 3악장에서 다시 이 악기를 썼다. "협주곡 내내 딱 2번 연주한 게 아니냐"고 물었더니, "그것 말고 다른 악기도 연주했는데, 눈에 잘 안 띈 모양"이라며 웃었다. 바이올린 주자가 내내 활을 켜고 있을 때, 타악 주자는 뒤에 앉아 빈둥거리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도 연주 수당은 다른 단원들과 똑같다. "네덜란드가 코스타리카와의 월드컵 8강전에서 승부차기 때 골키퍼를 바꾸는 것 보셨죠. 그 덕분에 이겼잖아요. 타악 주자는 결정적 순간에 한몫하는 골키퍼와 비슷합니다." 에드워드 최가 말하자 동료들이 맞장구쳤다.
②타악기는 아무나 연주할 수 있다?
타악 주자들은 가끔 북이나 치고, 초등학생도 연주하는 트라이앵글이나 캐스터네츠도 쓴다. 누구나 할 수 있을 것 같다. 에드워드 최는 미국 배우 겸 작가 조지 플림톤(Plimpton) 얘기를 했다. "플림톤이 번스타인이 이끄는 뉴욕필에서 트라이앵글 주자로 참여한 적 있어요. 그때 쓴 글을 봤는데, 어마어마한 부담에 시달렸대요. 우린 한 번 타이밍을 놓치면 연주를 완전히 망치는 거지요."
타악 주자들은 팀파니는 물론, 두드리는 악기는 모두 다 연주할 수 있다고 했다. 오케스트라 오디션 때도 대여섯 가지 악기를 테스트한다.
③타악기는 음정이 없다?
마림바나 비브라폰은 음정이 있지만, 타악기 대부분은 높낮이가 없을 것 같다. 오해다. 페뤼송은 얼마 전 팀파니로 '아리랑'을 멋있게 연주하는 영상을 유튜브에 올렸다. 페뤼송은 "드럼 5개짜리 팀파니 세트로 2옥타브까지 높낮이를 낼 수 있다"고 했다. 파이프나 나무 조각도 크기에 따라 다른 소리를 낸다는 것.
타악기의 매력은 뭘까. 김문홍(49) 단원은 "작곡가나 지휘자가 원하는 소리를 내기 위해 아이디어를 짜내 새로운 소리를 만들어내는 게 도전적"이라고 했다.
▷서울시향 비바 시리즈 1: 비바 퍼커션, 9일 오후 8시 금호아트홀, 1588-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