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4.04.28 18:02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의 대가 이춘희와 파격적인 안무와 패션으로 눈에 띄는 현대무용가 안은미가 만났다. 언뜻 그려지지 않는 양극단의 만남은, 그래서 더 큰 시너지를 낸다.
국립극장에서 특별한 공연이 마련됐다. 경기민요 명창들이 한데 모여 큰 공연을 마련한 것. 3일 공연에 동원된 인원만 3백명 이상이다. 전설의 경명창 박춘재, 이창배, 안비취를 기리는 공연 <설립자들>이다. 이들의 제자들이 스승을 기리며 마련한 헌정 무대였다.
이창배와 안비취의 제자였던 이춘희(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가 중심이 되어 이은주, 김영임 등과 함께 마련한 이번 공연에서 의외의 인물이 눈에 띄었다. 바로 현대무용가 안은미다. 안은미는 이 공연의 총연출자로 나섰다. 민머리와 튀는 의상이 트레이드마크인 그녀에게 ‘전통’이나 ‘민요’는 어울려 보이지 않는다.

어떻게 공연을 함께하게 되었나요?
이춘희 저희가 극과 극이죠? 저는 그게 좋아 보였어요. 그동안 안은미 선생님 공연에 제 제자들이 가끔 출연했거든요. 양념처럼 적절하게 잘 살려주면서 투입시키는 연출이 좋았어요. 덕분에 안 선생님 공연을 자주 보게 됐는데, 무대 세트에 목숨 걸 정도로 열심히 하시는 걸 알게 됐어요. 의상 컬러도 대단하고. <설립자들>이 큰 공연인 만큼, 우리가 늘 했던 방향이 아닌 저분의 눈높이에 한번 맞춰볼까, 하는 생각에 총연출을 제안하게 됐죠.
안은미 이번 공연의 수익금을 박춘배 선생님 동상 건립에 쓰신다고 해요. 정말 좋은 취지라고 생각하고 응했어요. 그동안 저는 <바리공주>로 시작해 민요, 판소리 분야에서 일하면서 전통음악에 애정을 갖게 되었거든요.
안은미 선생님의 연출로 공연이 어떻게 바뀌었나요?
이춘희 공연 전체를 다 바꾼 건 아니고, 몇 장면에서 안은미 선생님 아이디어가 잘 반영됐어요. 일단 많은 인원이 모두 앉을 수 있게 무대를 경사지게 했고 하얀 배경도 좋았고, 무대를 최대한 활용한 점들이 맘에 들어요. 그동안 제가 ‘이별가’를 부를 때 옥색이나 흰색 한복을 입었는데, 이번에는 빨간색 한복에 머리에도 뭘 쓰기도 했고요. ‘맹꽁이 타령’을 부를 때 50명 정도 나와 노래하는데, 옷을 알록달록 입고 갓에도 노란색을 칠해 우스꽝스러우면서도 재미있게 연출됐죠.
안은미 ‘맹꽁이 타령’이 반응이 좋았던 것 같아요. 편곡으로 리듬을 달리하니까 클럽의 아이돌 음악 같더라고요. 민요 하면 고리타분하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조금만 손대면 내용이나 리듬이 정말 재미있거든요. 이 무대에서 50명의 출연자들이 미친 듯이 춤을 췄죠. ‘이별가’를 부를 때 이춘희 선생님은 빨간색 옷을 처음 입어봤다고 해요. 저는 ‘이별가’라고 해서 차분한 옷을 입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거든요. 슬픔을 딛고 다음을 기약하는 이별처럼, 꽃 한 송이로 이별을 이야기하듯, 꽃잎이 하나씩 떨어질 때의 애잔함을 전했으면 했어요.
처음 두 분이 함께한다고 할 때 주변의 우려도 많았을 것 같아요.
이춘희 몇몇 사람들은 그랬죠. ‘전이 무용가에게 우리 것(전통음악)을 맡기느냐’고 의아해하기도 했어요. 저는 “한번 해보자” 했지만, 큰 모험이었죠. 전통음악을 하는 사람들은 자기 안에 갇혀 있는 경우가 많아요. 저는 그게 싫고 불만이었죠. 되도록 좋은 것은 받아들이는 편이에요. 전통을 고수하는 사람이지만 정신은 열려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제자들에게도 그렇게 말하고요.
안은미 화합의 장이었고, 서로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됐어요. 저는 이번 공연을 하면서 이렇게 좋은 우리 민요가 많이 있다는 사실에 놀랐어요. 혹시 ‘비단 타령’ 아세요? 노래 가사가 비단 이름을 나열하는 거예요. 그 당시 평민들은 비단을 입을 수 없으니까 노래로서 해소하지 않았나 싶어요.
두 분, 서로의 첫인상이 궁금하네요.
이춘희 무대에서의 모습을 처음 봤을 때, 전이적인 모습에 깜짝 놀랐죠. ‘아… 저 나이니까 되나? 젊어서도 그랬을까?’ 한번 물어보고 싶더라고요.(웃음)
안은미 아마 선생님 세대에는 저 같은 애가 없었을 거예요.(웃음) 선생님은 연세가 많으신데도 오픈 마인드라서 놀랐어요. 두 번 질문하지 않으세요. ‘한번 해주실래요?’ 하면 그냥 하세요. 예술가적 기질을 타고나신 것 같아요. 제자를 길러내실 때의 엄격함과 달리 정말 애정이 많으시고, 새로운 시도를 계속하고 싶어 하세요. 서로 좋은 파트너가 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