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07.06.25 22:58 | 수정 : 2007.06.26 06:56
비엔나미술사박물관 자이펠 관장…바로크 작품 등 한국 전시

오스트리아 비엔나미술사박물관의 빌프리트 자이펠(Wilfried Seipel·63) 관장이 한국에 왔다. 덕수궁미술관에서 ‘비엔나미술사박물관전: 합스부르크 왕가 컬렉션’이 26일 개막하기 때문이다. 자이펠 관장은 마흔여섯 살 때부터 17년째 이 박물관의 관장이다.
그는 이집트학을 전공한 역사학자다. “이곳에 머무는 동안 한국의 박물관과 미술관을 최대한 보고 가겠다”고 말했다. “국립중앙박물관과 경주국립박물관에 있는 한국의 유물이 너무 대단해서 보고 또 보고 몰래 사진도 찍었어요. 좋은 박물관의 조건은 언제나, 오로지, ‘소장품’에 달려 있습니다. 기획전 횟수가 많고, 건물이 멋지고 이런 것은 중요하지 않아요.”
그는 이집트학을 전공한 역사학자다. “이곳에 머무는 동안 한국의 박물관과 미술관을 최대한 보고 가겠다”고 말했다. “국립중앙박물관과 경주국립박물관에 있는 한국의 유물이 너무 대단해서 보고 또 보고 몰래 사진도 찍었어요. 좋은 박물관의 조건은 언제나, 오로지, ‘소장품’에 달려 있습니다. 기획전 횟수가 많고, 건물이 멋지고 이런 것은 중요하지 않아요.”

그는 “비엔나미술사박물관은 루브르박물관, 대영박물관, 베를린박물관, 에르미타쥬박물관과 함께 유럽·러시아의 5대 박물관으로 꼽힌다. 모두 귀한 소장품이 많은 곳”이라고 말했다. 비엔나미술사박물관은 16~18세기 합스부르크 왕가의 유물을 소장해 유명하다. 미술뿐 아니라 무기, 보석, 마차 등을 소장한 별도 전시관들이 모여 하나의 박물관을 이룬다.
이번 한국전에는 이중 16~17세기의 르네상스와 바로크 회화 64점이 왔다. 이 시대 미술의 특징을 집약한 전시다. 벨라스케스의 ‘흰 옷 입은 어린 왕녀 마르가리타 테레사’는 황제 레오폴드 1세의 방에, 렘브란트의 ‘책을 읽는 화가의 아들’은 황제 카를 6세의 방에, 하는 식으로 소장자별로 분류를 해 전시구성이 특이하다.
“오스트리아에서는 왕족의 후원으로 예술이 발전했기 때문에 그들의 컬렉션이 중요합니다. 모차르트 덕에 오스트리아가 음악의 나라로는 잘 알려져 있지만, 사실 우리는 미술로도 뒤지지 않는 나라예요.” 그는 “특히 최근 우리 박물관의 관객 중 한국인 비율이 비약적으로 오르고 있다. 그래서 한국에서 전시한다는 사실이 너무 기쁘다”고 말했다.
이번 한국전에는 이중 16~17세기의 르네상스와 바로크 회화 64점이 왔다. 이 시대 미술의 특징을 집약한 전시다. 벨라스케스의 ‘흰 옷 입은 어린 왕녀 마르가리타 테레사’는 황제 레오폴드 1세의 방에, 렘브란트의 ‘책을 읽는 화가의 아들’은 황제 카를 6세의 방에, 하는 식으로 소장자별로 분류를 해 전시구성이 특이하다.
“오스트리아에서는 왕족의 후원으로 예술이 발전했기 때문에 그들의 컬렉션이 중요합니다. 모차르트 덕에 오스트리아가 음악의 나라로는 잘 알려져 있지만, 사실 우리는 미술로도 뒤지지 않는 나라예요.” 그는 “특히 최근 우리 박물관의 관객 중 한국인 비율이 비약적으로 오르고 있다. 그래서 한국에서 전시한다는 사실이 너무 기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