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국악극 '만만파파 용피리', 그림책 넘기듯 보세요

  • 뉴시스

입력 : 2016.04.29 09:34

우리나라 고유의 국악기 대금의 탄생 설화를 다룬 삼국유사의 '만파식적' 이야기가 국립국악원(원장 김해숙)의 어린이 국악극으로 재탄생했다.

연출을 맡은 극단 민들레의 송인현 대표는 28일 오후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열린 어린이 국악극 '만만파파 용피리' 프레스콜에서 "그림책 책장을 한장씩 넘기듯 장면을 볼 수 있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앞서 그는 국립국악원의 또 다른 어린이 음악극 '솟아라 도깨비' '마당을 나온 암탉'으로 호평 받았다.

어른들의 공감도 크게 샀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어린이에게 어렵지 않겠냐는 평도 일부 나왔다. 송 연출은 그래서 "이번에 좀 더 쉽게 가려고 했다"고 전했다. "그래서 그림책이라는 테마를 정했다"는 것이다.

신라의 악사 '비울'과 백제의 소리꾼 '나눌'이 서로 다른 음을 조화롭게 만드는 절대피리 만파식적을 찾아 떠나는 여정이 장면마다 뇌리에 남는 이유다.

"아이들을 위에서 가르치면 안 된다. 눈높이에서 소통을 해야 한다. 어린이극을 하면서 많이 생각한 것이다. 손주를 키우는데 항상 좋고 신선하고 정성스런 음식을 먹이려고 한다. 그런 마음으로 만들었다." 어린이 국악 뮤지컬 '솟아라 도깨비' '마고할미'와 국악방송의 '국악놀이노래'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작곡가 류형선이 음악감독을 맡았다. 퓨전국악 '난감하네'로 알려진 심영섭과 KBS국악대상(작곡부문)을 수상한 박경훈이 작곡에 참여했다.

강강술래, 군밤타령, 아리랑 등을 재해석한 국악 동요들을 20여명의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의 연주로 선보인다.

류 음악감독을 "어릴 때부터 아이들의 입을 통해 불려지는 노래를 기본으로 삼았다. 검증받은 텍스트를 바탕으로 한 셈이다. 여러 자료를 가지고 음악적인 맥락을 만들었다. 작곡가들이 해석을 가해 새로운 작품으로 만들었다고 이해하면 된다"고 말했다.

화려한 무대 장치도 눈길을 끈다. 만파식적의 배경이 되는 '거북섬'은 두개로 쪼개졌다 하나로 붙어지는 거대한 공간으로 형상화된다. 두 주인공을 위협하는 이무기와 해룡 등은 대형 막대 깃발로 표현한다.

공연을 안내하는 프로그램 북도 퍼즐 형태로 제작한다. 관람 이후 퍼즐 놀이를 통해 공연을 돌아볼 수 있게끔 했다. 매회 공연 1시간 전부터 공연장 안팎에서는 비누방울, 막대풍선 인형 만들기 체험 등을 진행한다.

또 공연장 옆 국악박물관의 입체 영상실에서는 3D 애니메이션 '만파식적'을 매시간 마다 상영, 공연의 이해를 돕는다.

어린이날에는 체험 활동을 마련하며 공연기간 중 3000번째 관객에게는 공연 관람을 기념해 대금 제작자 최우석이 협찬한 200만원 상당의 연주자용 대금도 선물로 증정한다.

30일부터 5월8일까지. 평일 오전 11시, 주말과 어린이날은 오후 2시. 국립국악원 홈페이지(www.gugak.go.kr), 인터파크티켓(ticket.interpark.com)과 전화(02-580-3300)로 예매 가능하다. 나눌 채수현, 비울 이승우. 대본 홍원기. 36개월 이상 입장가능. 2~3만원.
  • Copyrights ⓒ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